청와대 '자료유출' 유령회사 공개

청와대 '자료유출' 유령회사 공개

2008.07.10. 오후 7: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청와대와 노무현 전 대통령측의 국가 기록물 유출 논란을 둘러싼 진실 공방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노 전 대통령측이 동원한 유령회사의 회사명까지 공개했고, 노 전 대통령측은 정치공세라며 맞섰습니다.

자료 유출의 논란과 쟁점, 김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청와대가 주장해온 노무현 전 대통령측의 페이퍼 컴퍼니, 즉 유령회사가 있었던 곳입니다.

청와대는 디네드라는 이름을 썼던 유령회사가 자료 유출을 위해 삼성 SDS와 계약을 맺고 새 'e지원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 회사 사장인 허 모 씨와 대통령 최측근 인사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며 수사를 통해 밝혀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대해 노 전 대통령측은 근거없는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봉하 마을 존재 여부도 논란 거리입니다.

청와대는 노 전 대통령측이 새 'e지원 시스템'을 설치하면서 하드디스크를 떼어냈고 이를 봉하마을로 옮겼다며 나중에 하드디스크를 파기했다는 기록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노 전 대통령 측은 하드디스크를 가져온 적이 없다며 파기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 중이라고 맞섰습니다.

자료 유출을 둘러싼 양해 논란과 관련해서는 청와대는 노 전 대통령측이 사전, 사후 아무런 양해가 없었다며 오히려 지나 4월 18일 봉화마을에 반환공문을 보냈지만 거절당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대해 노 전 대통령측은 사전에 양해를 구한 것은 아니지만 자료의 복사본을 봉하마을로 옮긴 뒤 청와대측에 상황을 설명했다고 반박했습니다.

노 전 대통령측의 기밀자료 보유 논란과 관련해 청와대는 국가기록원보다 더 많은 자료가 봉하마을에 있는 것은 사실이고, 이 중에는 국가기밀도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대해 노 전 대통령측은 조사해 보면 나올 것이라며 일축했습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측이 국가기록물을 사전 협의없이 봉하마을에서 온라인 상으로 보려 했던 것은 불법이라는 것이 청와대 주장입니다.

국가기록원은 이런 논란을 풀기 위해 오는 12일 봉하마을을 직접 찾아 현장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청와대는 만약 현장조사에서 불법 자료 유출 사실이 확인될 경우 검찰 수사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혀 현장조사가 이번 논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태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