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민군합동조사단은 물 속에서 천안함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발생한 폭발이 함체를 두동강냈다고 중간 결론을 내렸습니다.
천안함과의 정확한 거리와 어뢰인지 기뢰인지 여부는 정밀 조사를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밝혔는데 어뢰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강진 기자!
직접 타격은 아닌 것으로 이제 판명이 됐군요.
그럼 수중 폭발에 의한 버블제트 때문이라는 건데 어떤 근거로 판단한 것입니까?
[중계 리포트]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수중폭발로 결론을 내리는데 가장 결정적인 근거가 된 건 절단면의 형태였습니다.
합동조사단은 선체에 대한 현장 조사결과 직접 타격을 받았을 때 생기는 파공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안쪽이나 바깥쪽 모두에 그을음이나 열에 의해 녹은 흔적도 없기 때문에 직접 충격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게다가 함수와 함미 모두 절단면의 찢어진 아래쪽이 부분이 심하게 안쪽으로 말려올라가 있는데, 이는 압력에 의한 손상 형태라고 합조단은 설명했습니다.
탄약고와 연료탱크에 손상이 없었고, 내장재가 불에 타지 않은 점도 비접촉 폭발의 근거로 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폭발 위치는 가스터빈실 좌측 아래의 물 속을 지목했습니다.
천안함의 왼쪽은 절단면 중심으로 3.2m가 유실된데 비해 오른쪽은 9.9m가 없어졌기 때문에 왼쪽에서 압력이 가해지면서 오른쪽이 더 많이 파손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버블제트일 경우 나타나는 물기둥을 아무도 보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선체와 가까운 곳에서 폭발하면, 물기둥이 옆으로 퍼지는 형태로도 나타난다며, 폭발이 천안함과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했음을 시사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이제 폭발한 게 어뢰냐 기뢰냐에 초점이 맞춰질텐데요. 어느 쪽일 가능성이 높습니까?
[답변]
일단 어뢰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오늘 낮 정부중앙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선체에 파공이 없다면 중어뢰에 의한 버블제트'가 가장 가까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합동조사단이 파공이 없다고 밝혔기 때문에, 김 장관의 발언은 내부적으로 어뢰 공격으로 결론내렸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합동조사단은 어뢰인지 기뢰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파손된 형태로만 봐서는 어뢰일수도 있고 기뢰일수도 있다는 겁니다.
이를 입증하려면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뢰와 기뢰가 폭발할 때 보이는 형태를 비교분석해야하지만, 이보다 결정적인 증거는 파편입니다.
합동조사단은 기뢰는 철 성분으로 돼있지만, 어뢰는 알루미늄 성분으로 돼있기 때문에, 구분 가능한 파편을 발견한다면, 어뢰인지 기뢰인지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이강진[jinle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민군합동조사단은 물 속에서 천안함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발생한 폭발이 함체를 두동강냈다고 중간 결론을 내렸습니다.
천안함과의 정확한 거리와 어뢰인지 기뢰인지 여부는 정밀 조사를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밝혔는데 어뢰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강진 기자!
직접 타격은 아닌 것으로 이제 판명이 됐군요.
그럼 수중 폭발에 의한 버블제트 때문이라는 건데 어떤 근거로 판단한 것입니까?
[중계 리포트]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수중폭발로 결론을 내리는데 가장 결정적인 근거가 된 건 절단면의 형태였습니다.
합동조사단은 선체에 대한 현장 조사결과 직접 타격을 받았을 때 생기는 파공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안쪽이나 바깥쪽 모두에 그을음이나 열에 의해 녹은 흔적도 없기 때문에 직접 충격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게다가 함수와 함미 모두 절단면의 찢어진 아래쪽이 부분이 심하게 안쪽으로 말려올라가 있는데, 이는 압력에 의한 손상 형태라고 합조단은 설명했습니다.
탄약고와 연료탱크에 손상이 없었고, 내장재가 불에 타지 않은 점도 비접촉 폭발의 근거로 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폭발 위치는 가스터빈실 좌측 아래의 물 속을 지목했습니다.
천안함의 왼쪽은 절단면 중심으로 3.2m가 유실된데 비해 오른쪽은 9.9m가 없어졌기 때문에 왼쪽에서 압력이 가해지면서 오른쪽이 더 많이 파손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버블제트일 경우 나타나는 물기둥을 아무도 보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선체와 가까운 곳에서 폭발하면, 물기둥이 옆으로 퍼지는 형태로도 나타난다며, 폭발이 천안함과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했음을 시사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이제 폭발한 게 어뢰냐 기뢰냐에 초점이 맞춰질텐데요. 어느 쪽일 가능성이 높습니까?
[답변]
일단 어뢰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오늘 낮 정부중앙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선체에 파공이 없다면 중어뢰에 의한 버블제트'가 가장 가까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합동조사단이 파공이 없다고 밝혔기 때문에, 김 장관의 발언은 내부적으로 어뢰 공격으로 결론내렸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합동조사단은 어뢰인지 기뢰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파손된 형태로만 봐서는 어뢰일수도 있고 기뢰일수도 있다는 겁니다.
이를 입증하려면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뢰와 기뢰가 폭발할 때 보이는 형태를 비교분석해야하지만, 이보다 결정적인 증거는 파편입니다.
합동조사단은 기뢰는 철 성분으로 돼있지만, 어뢰는 알루미늄 성분으로 돼있기 때문에, 구분 가능한 파편을 발견한다면, 어뢰인지 기뢰인지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이강진[jinle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