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훈련병 행군 뒤 사망..."훈련소가 부실 치료"

육군 훈련병 행군 뒤 사망..."훈련소가 부실 치료"

2011.05.12. 오후 6:1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야간 행군을 마친 뒤 호흡곤란을 호소하던 육군 훈련병이 병원에 뒤늦게 옮겨졌다가 하루 만에 숨졌습니다.

뇌수막염에 패혈증 증세까지 있었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했던 정황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우빈 훈련병의 부모는 키 173cm, 몸무게 70kg의 건장한 청년이었던 아들이 훈련소 입소 한 달 만에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온 사실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현역 1급 판정을 받고 입대했던 노 훈련병은 20km 야간 행군을 마치고 지난달 23일 새벽 부대에 복귀했습니다.

38도의 고열 증세에 호흡곤란까지 보여 부대 의무실로 갔지만, 의무병은 해열 진통제 2알만 처방해줬습니다.

낮이 됐지만, 상태는 더 악화됐습니다.

육군 훈련소 지구병원과 주변 민간병원으로 연이어 옮겨졌지만 패혈증 증세를 보이다 결국 다음날 숨지고 말았습니다.

부검 결과 사인은 뇌수막염에 패혈증과 급성호흡 곤란 증세가 겹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부모에게는 훈련소가 초기 진료만 제대로 했어도 목숨을 살렸을 것이란 원망만 남을 뿐입니다.

[인터뷰:공복순, 고 노우빈 훈련병 어머니]
"이런 걱정을 했더라면 아이한테 잘해줬을 거예요. 편지도 자주 썼을 거예요. 그런데 아이가 편지 4통을 쓸 때 저는 한 통밖에 안 썼고 이 편지도 열어보지도 못하고 죽었더라고요."

육군 훈련소에는 2,000여 명의 훈련병이 있는 각 연대에 군의관이 1명씩만 배치돼 있고 그나마 야간에는 지구 병원 당직실을 이용하도록 돼 있습니다.

의료처방을 할 권한도 없는 의무병이 왜 군의관에게 보고하지도 않고 해열제만 처방했는지도 의문입니다.

[인터뷰:엄효식, 육군 공보과장]
"해당 부대의 간부와 의무병이 적절한 조치를 했는지 육군 훈련소에서 자세한 경위를 조사 중입니다."

육군 훈련소에서는 지난 2월에도 한 훈련병이 중이염 때문에 고통스럽다는 편지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등 군시설 내의 의료체계에 대한 비판과 인권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YTN 강진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