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우리 군의 차기전투기는 미국의 스텔스기인 F-35A로 확정됐습니다.
8조 3천억 원의 예산으로 40대를 우선 구매할 예정인데요, 오는 2018년부터 차례로 도입됩니다.
김도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향후 20-30년간 우리 하늘을 지킬 차기전투기는 F35A로 확정됐습니다.
군 당국은 합동참모회의를 열어 스텔스 성능과 전자전 능력을 갖춘 전투기를 도입하기로 작전요구성능을 수정했습니다.
[인터뷰:엄효식,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북한의 국지도발시 단호한 응징보복 능력 보유를 통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첨단 스텔스 성능과 전자전 능력을 구비한 ROC로 수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경쟁을 하던 유로파이터와 F15SE 전투기는 스텔스 성능을 갖추지 못해 경쟁에서 탈락했습니다.
하지만 1차 도입대수는 60대에서 40대로 줄어들었습니다.
군 당국은 8조 3천억 원의 예산 등을 감안해 40대를 우선 구매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20대는 안보환경 변화와 스텔스기를 포착하는 레이더 등 과학기술 발전 추세를 감안해 도입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추가 예산없이 차기전투기 구입을 확정하면서 북핵 위협에 맞선 킬체인의 조기구축도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인터뷰:신익현,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 3차장(준장)]
"고성능 스텔스 전투기는 지원전력이 불필요하고 최소한의 전력으로 은밀침투하여 주요 표적을 효과적으로 타격이 가능한 킬체인 전력의 핵심입니다."
차기전투기로 낙점받은 F-35A 전투기 40대는 오는 2018년 부터 차례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한차례 논란을 빚으면서 사업이 연기됐지만 큰 전력공백 없이 차기전투기를 확정짓게돼 대북억지력도 크게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YTN 김도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우리 군의 차기전투기는 미국의 스텔스기인 F-35A로 확정됐습니다.
8조 3천억 원의 예산으로 40대를 우선 구매할 예정인데요, 오는 2018년부터 차례로 도입됩니다.
김도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향후 20-30년간 우리 하늘을 지킬 차기전투기는 F35A로 확정됐습니다.
군 당국은 합동참모회의를 열어 스텔스 성능과 전자전 능력을 갖춘 전투기를 도입하기로 작전요구성능을 수정했습니다.
[인터뷰:엄효식,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북한의 국지도발시 단호한 응징보복 능력 보유를 통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첨단 스텔스 성능과 전자전 능력을 구비한 ROC로 수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경쟁을 하던 유로파이터와 F15SE 전투기는 스텔스 성능을 갖추지 못해 경쟁에서 탈락했습니다.
하지만 1차 도입대수는 60대에서 40대로 줄어들었습니다.
군 당국은 8조 3천억 원의 예산 등을 감안해 40대를 우선 구매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20대는 안보환경 변화와 스텔스기를 포착하는 레이더 등 과학기술 발전 추세를 감안해 도입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추가 예산없이 차기전투기 구입을 확정하면서 북핵 위협에 맞선 킬체인의 조기구축도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인터뷰:신익현, 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 3차장(준장)]
"고성능 스텔스 전투기는 지원전력이 불필요하고 최소한의 전력으로 은밀침투하여 주요 표적을 효과적으로 타격이 가능한 킬체인 전력의 핵심입니다."
차기전투기로 낙점받은 F-35A 전투기 40대는 오는 2018년 부터 차례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한차례 논란을 빚으면서 사업이 연기됐지만 큰 전력공백 없이 차기전투기를 확정짓게돼 대북억지력도 크게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YTN 김도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