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해군 유도탄 고속함에서 76mm 함포가 갑자기 발사되면서 병사 1명이 머리를 크게 다쳤습니다.
이 병사는 생명이 위독한 상태인데, 해군은 사고 경위를 정밀 조사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권민석 기자!
사고가 난 게 언제입니까?
[기자]
어제 오후 6시 20분쯤,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했습니다.
해군 유도탄고속함인 황도현함의 76밀리미터 함포가 오작동을 일으켜 포탄이 갑자기 발사됐습니다.
당시 함정 갑판에서는 병사들이 평택항으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요.
22살 오 모 일병이 발사된 포탄에 머리를 맞아 크게 다쳤습니다.
오 일병은 저녁 8시쯤 수원 아주대 병원으로 옮겨져 수술을 받았지만, 의식이 없고 생명이 위독한 상태입니다.
이 함정은 어제 태안 앞바다에서 정규 사격훈련을 실시하려고 했는데요.
76밀리미터 함포가 포탄 장전 마지막 단계에서 작동을 멈춰, 사격훈련을 취소하고 평택기지로 돌아오다 사고가 났습니다.
해군은 입항 전, 장전통에 있는 포탄 4발을 제거하려고 함포의 전원을 켜는 순간 갑자기 포탄이 발사됐다고 밝혔습니다.
포탄은 태안 앞바다 4킬로미터 지점에서 폭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해군은 이로 인한 대민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함포가 장착된 조천형함은 지난해 10월, 서해 NLL 해역에서 북한 함정과 교전을 벌일 때도 장전장치 고장으로 사격에 실패했습니다.
이 함포는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져, 국내 업체가 개량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해군은 함포의 오작동 경위를 정밀 조사하고 있으며, 포탄 제거를 위한 안전 수칙이 제대로 지켜졌는지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해군 유도탄 고속함에서 76mm 함포가 갑자기 발사되면서 병사 1명이 머리를 크게 다쳤습니다.
이 병사는 생명이 위독한 상태인데, 해군은 사고 경위를 정밀 조사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권민석 기자!
사고가 난 게 언제입니까?
[기자]
어제 오후 6시 20분쯤,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했습니다.
해군 유도탄고속함인 황도현함의 76밀리미터 함포가 오작동을 일으켜 포탄이 갑자기 발사됐습니다.
당시 함정 갑판에서는 병사들이 평택항으로 들어가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요.
22살 오 모 일병이 발사된 포탄에 머리를 맞아 크게 다쳤습니다.
오 일병은 저녁 8시쯤 수원 아주대 병원으로 옮겨져 수술을 받았지만, 의식이 없고 생명이 위독한 상태입니다.
이 함정은 어제 태안 앞바다에서 정규 사격훈련을 실시하려고 했는데요.
76밀리미터 함포가 포탄 장전 마지막 단계에서 작동을 멈춰, 사격훈련을 취소하고 평택기지로 돌아오다 사고가 났습니다.
해군은 입항 전, 장전통에 있는 포탄 4발을 제거하려고 함포의 전원을 켜는 순간 갑자기 포탄이 발사됐다고 밝혔습니다.
포탄은 태안 앞바다 4킬로미터 지점에서 폭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해군은 이로 인한 대민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함포가 장착된 조천형함은 지난해 10월, 서해 NLL 해역에서 북한 함정과 교전을 벌일 때도 장전장치 고장으로 사격에 실패했습니다.
이 함포는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져, 국내 업체가 개량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해군은 함포의 오작동 경위를 정밀 조사하고 있으며, 포탄 제거를 위한 안전 수칙이 제대로 지켜졌는지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