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400억대 무인기 사업 기밀 유출 의혹...방사청 알고도 묵인?

단독 400억대 무인기 사업 기밀 유출 의혹...방사청 알고도 묵인?

2015.02.11. 오전 04:5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군이 서북도서 등의 감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확정한 수백억 원대의 정찰용 무인기 사업 추진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의혹이 발견됐습니다.

YTN이 입수한 관련 문건을 보면 무기 중개업체에 군사 기밀이 대거 유출된 정황은 물론, 방위사업청이 이같은 사실을 알고도 사업을 추진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권민석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최대 52시간 동안 상공을 날며, 지상 목표물을 감시할 수 있는 이스라엘 IAI사의 정찰용 무인기 헤론입니다.

방위사업청은 지난해 12월, 서북도서와 수도권 접적지역 감시를 위해 400여억 원을 들여 올해 말까지 헤론 3대를 실전 배치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사업 과정에서 국내 무기 중개업체에 군사 기밀이 대거 유출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지난해 10월, IAI사의 국내 에이전트인 모 업체 회장은 방위사업청 무인기사업팀이 편파적으로 일을 처리한다며 방사청장에게 투서를 보냈습니다.

그러면서 육군본부 시험평가단만 알 수 있는 비공개 평가 기준을 보란듯이 투서에 기술했습니다.

업체 측은 특히 육본 시평단이 이스라엘 현지에서 구두로 주고 받은 평가 내용까지 속속들이 알고 있었습니다.

경쟁업체가 어떤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는지는 물론, 방사청 내부 문건 번호까지 적시했습니다.

군의 시험평가 정보는 무기 계약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부분 3급 기밀로 분류돼 있는데도, 이를 훤히 꿰뚫고 있었던 겁니다.

누군가 업체에 정보를 갖다줬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대목입니다.

이 때문에 방위사업청은 지난해 10월과 지난달, 기밀 유출 우려가 있다며 두 차례에 걸쳐 군 검찰에 직접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인터뷰:김광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구두 협의 내용까지 무기 중개상이 내용을 다 알고 있었다는 거거든요.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고 현재 유출된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기밀 유출 여부에 대해서도 빠른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방사청은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사업을 진행해, 지난해 12월 이 업체를 내세운 IAI사를 최종 사업자로 선정했습니다.

기밀 유출 가능성만으로는 입찰 자격을 제한할 수 없었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

하지만 이미 지난해 10월, 첫 수사 요청 당시 투서에 군 시험평가 정보가 사용됐다고 밝혀, 방사청이 기밀 유출을 적발하고도 묵인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