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탈당파 무소속 7명 일괄복당 허용

새누리당, 탈당파 무소속 7명 일괄복당 허용

2016.06.16. 오후 7:3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양문석 / 前 미디어스 논설위원, 최단비 / 변호사, 강미은 /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 김복준 /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앵커]
새누리당 무소속 7명 일괄복당, 예상하셨습니까? 양 위원님.

[인터뷰]
저는 예상 못했습니다.

[앵커]
저도 예상 못했습니다. 어제 이장우 의원하고 인터뷰를 했는데 이장우 의원이 얘기를 했거든요. 이건 새로운 지도부가 구성돼서 새로운 지도부가 해야 할 것이다 했는데 오늘 됐어요. 청와대가 어떻게 교감을 했을까요. 아니면 여당 지도부와 교감을 했을까요, 아니면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인터뷰]
교감설이 있고 그다음에 비교감설, 단독플레이 이 두 설이 있는데요. 교감하지 않았다라는 데 저는 베팅을 합니다. 왜냐하면 첫 번째, 오늘 결정하는 과정들이 재미있었잖아요. 비밀투표와 그다음에 무기명 투표와 그리고 개표 과정에서 드러났던 모습들은 우발적 사건이다라고 보는 것이고. 그다음에 두 번째가...

[앵커]
개표가 그러니까 6표 나오는 것 보고 자리를 뜬 것, 그것 말씀하시는 거죠?

[인터뷰]
그걸 갖다가 덮어버린 부분들도 그렇고요. 그다음에 친박의 문제를 떠나서 혁신비대위가 계속해서 평가를 그렇게 했잖아요. 혁신은 없고 비대위만 있을 것이고 전당대회관리위원회로 갈 거다라고 했던 이유가 뭡니까? 혁신위원회의 1차 과제가 계파 청산이었는데 이 혁신비대위를 만들면서 계파 안배를 해서 혁신비대위를 만들었다는 말이에요. 이미 혁신은 물건너갔다라는 측면에서도 혁신비대위는 엄청나게 부담을 가졌을 것이다.

세 번째, 어제, 그제 당대표 선출과 최고위 선출을 분리했습니다. 사실상 친박에게 당대표를 주는 것 아니냐라고 하는 비박계의 반발이 집중적으로 쇄도하는 과정이었습니다. 혁신비대위가 혁신비대위로서 전당대회까지 유지하기 위해서는 명분이 있고 탈출구가 있어야 하는데 그 탈출구를 가장 핵심적인 복당으로 선을 치고 나가버린 것이죠.

그러면서 청와대 입장에서는 말이 되냐, 이게. 박근혜 대통령의 스타일은 한 번 찍으면 영원히 안 본다인데 그러한 스타일을 안 읽어줬다는 거 아니에요. 그렇기 때문에 방금 떠오르는 보도들을 보면 김희옥 위원장이 거취까지 고민하면서 오늘 무겁게 퇴청을 했다라는 보도가 나오는 것은 청와대 교감설 없었다, 그리고 청와대는 말 그대로 뒤통수를 맞았다고 판단하는 것이고 친박 중진들이 강력하게 지금 반발하고 있고 17일날 고위 당정청 회의를, 이게 신공항 문제거든요. 신공항 문제는 이거보다 훨씬 더 파급력이 더 큰 사건인데 이것을 논의하기 위한 당정청 회의를 전격적으로 취소를 해 버렸습니다. 청와대가 몰랐다고 보는 것이죠.

[앵커]
우발적일 수 있다. 강 교수님은?

[인터뷰]
우발성인지까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청와대가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저는 그렇게 생각이 들어요. 왜냐하면 총선 끝나고 나서 누가 그 말씀을 하셨죠? 복당은 없다 이 얘기하면서 표현을 어떻게 했냐하면 복당은 낙타가 바늘구멍 들어가는 것만큼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 얘기를 했거든요.

[앵커]
바늘구멍이 오늘 커진 것이죠.

[인터뷰]
오늘 굉장히 바늘구멍을 쉽게 통과를 했습니다. 그래서 총선을 보면 총선이 그렇게 새누리당 입장에서 시끄러울 수밖에 없었던 게 총선 이슈 중에 정말 큰 것이 유승민으로 시작해서 유승민으로 끝난 총선이었거든요, 새누리당에서 보면. 유승민 의원을 어떻게 하면 쫓아낼 수 있을까, 그런 것 가지고 정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싸움을 하는 것을 국민들이 다 지켜보지 않았습니까. 그러한 와중에 이렇게 쉽게 복당을 시킨다? 그건 아닌 것 같고요.

이제 앞으로 이렇게 복당을 하게 됐으니까 이건 무를 수가 없는 거잖아요. 앞으로 유승민 의원이나 이런 분들이 들어와서 어떤 활동을 하게 될 것인가가 관심의 대상인 것 같아요.

[앵커]
그렇죠. 전당대회가 어떻게 될 것인가, 이제 그 부분을 주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4 YTN 서울투어마라톤 (2024년 10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