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지금보다 요금이 20~30%나 싼 저가이동통신사가 오는 7월 출범합니다.
어떻게 요금을 이렇게 내릴 수 있는지, 또 어떤 사람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지 강성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터뷰:최상희, 서울 응봉동]
"단순하게 쓸 수 있으면서 가격이 아주 다운되면 너무 좋죠."
[인터뷰:김종원, 경기도 분당 (대학생)]
"가격이 저렴하고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면은 전화통화 하고 문자할 수 있고..."
휴대전화 요금에대한 반발이 커지자 정부가 MVNO, 즉 저가이동통신사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저가이동통신사는 구형 단말기로 음성과 문자 위주로 서비스를 하고 요금을 싸게 받는 것입니다.
7월부터 선불폰 형태로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인데 우선 노년층이나 학생들이 관심을 보일 전망입니다.
[인터뷰:장윤식, KCT 대표 (MVNO 예비사업자)]
"단말기 유통에서의 거품, 그리고 마케팅 경쟁에서 생기는 그런 비용측면에서 거품을 빼는 것이 초기의 우리 MVNO 사업자의 차별화 전략이다. 이렇게 되면은 저희들은 기존에 있는 이동통신 요금보다 20~30% 저렴하게..."
저가통신사는 통신망을 SKT와 KT 등 기간통신사가 깔아놓은 것을 빌려쓰게 됩니다.
따로 많은 투자를 할 필요가 없고, 요금 인하 경쟁도 촉발되기 때문에 정부도 적극적입니다.
[인터뷰:최영진, 방송통신위원회 통신경쟁정책과장]
"MVNO가 가장 효율적인 경쟁 촉진의 수단이라고 생각하고, 이 경쟁촉진이 제대로 이뤄져야 시장 기능에 의한 이동통신 요금인하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MVNO 활성화를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할 방침입니다."
MVNO가 도입되면 한 달에 요금을 5만 원 내던 가입자라면 4만 원 정도로 만 원 싸지게 됩니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하면 매월 4~5만 원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인하금액은 기간통신사와 MVNO 사업자간 통신망 임대료 협상결과에 따라 달라질 전망입니다.
YTN 강성웅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금보다 요금이 20~30%나 싼 저가이동통신사가 오는 7월 출범합니다.
어떻게 요금을 이렇게 내릴 수 있는지, 또 어떤 사람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지 강성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터뷰:최상희, 서울 응봉동]
"단순하게 쓸 수 있으면서 가격이 아주 다운되면 너무 좋죠."
[인터뷰:김종원, 경기도 분당 (대학생)]
"가격이 저렴하고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면은 전화통화 하고 문자할 수 있고..."
휴대전화 요금에대한 반발이 커지자 정부가 MVNO, 즉 저가이동통신사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저가이동통신사는 구형 단말기로 음성과 문자 위주로 서비스를 하고 요금을 싸게 받는 것입니다.
7월부터 선불폰 형태로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인데 우선 노년층이나 학생들이 관심을 보일 전망입니다.
[인터뷰:장윤식, KCT 대표 (MVNO 예비사업자)]
"단말기 유통에서의 거품, 그리고 마케팅 경쟁에서 생기는 그런 비용측면에서 거품을 빼는 것이 초기의 우리 MVNO 사업자의 차별화 전략이다. 이렇게 되면은 저희들은 기존에 있는 이동통신 요금보다 20~30% 저렴하게..."
저가통신사는 통신망을 SKT와 KT 등 기간통신사가 깔아놓은 것을 빌려쓰게 됩니다.
따로 많은 투자를 할 필요가 없고, 요금 인하 경쟁도 촉발되기 때문에 정부도 적극적입니다.
[인터뷰:최영진, 방송통신위원회 통신경쟁정책과장]
"MVNO가 가장 효율적인 경쟁 촉진의 수단이라고 생각하고, 이 경쟁촉진이 제대로 이뤄져야 시장 기능에 의한 이동통신 요금인하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MVNO 활성화를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할 방침입니다."
MVNO가 도입되면 한 달에 요금을 5만 원 내던 가입자라면 4만 원 정도로 만 원 싸지게 됩니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하면 매월 4~5만 원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인하금액은 기간통신사와 MVNO 사업자간 통신망 임대료 협상결과에 따라 달라질 전망입니다.
YTN 강성웅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