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지난해에도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 선박에 힘입어 수주액 기준으로 조선업계 세계 1위 자리를 확고히 지켰습니다.
하지만 수주량으로는 하마터면 중국에 1위를 내 줄 정도로 차이가 좁혀져, 중소 조선사들의 경영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기봉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3년 일본을 제치고 선박 수주액 1위로 올라선 우리나라.
올해도 여전히 큰 액수 차이로 세계 1위 자리를 수성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주액은 300억 달러로, 각각 155억과 52억 달러에 그친 중국과 일본을 가볍게 따돌렸습니다.
하지만 수주량으로 따지면 상황이 약간 다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746만 CGT를 기록해 710만 CGT를 달성한 중국을 가까스로 제쳤지만 차이는 근소합니다.
그나마 11월까지는 중국에 뒤져있어 1위 자리를 뺏겼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였습니다.
수주 선박 한 척당 가격은 중국이 3670만 달러인 반면 우리는 3배 수준인 1억 3,570만 달러.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값이 비싼 고부가가치 선박의 비중이 그만큼 높은 것입니다.
하지만 이 말은 고부가가치 선박이 아닌 일반 선박의 수주는 그만큼 부진하다는 얘기입니다.
극소수 대형조선사를 제외한 나머지 대다수 조선사들은 그만큼 경영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일반 상선이나 어선 등 중소 조선사들의 주력 상품의 발주가 상대적으로 값이 싼 중국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홍성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중국 정부에서 대대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최근에 선박금융센터를 만들어서 금융 부문의 지원도 굉장히 집중적으로 할 그럴 계획을 발표를 했습니다."
반면 우리 조선업계는 금융권의 대출마저 더욱 까다로와져 아예 자금줄이 마르는 악순환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내년부터 도입되는 선박 배출가스 규제로 인해 새로운 엔진개발 등 연구개발비까지 필요한 실정이라 상황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조선업계는 새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활 방침에 실낱같은 기대를 걸고 있지만 실질적인 경영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YTN 김기봉[kgb@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해에도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 선박에 힘입어 수주액 기준으로 조선업계 세계 1위 자리를 확고히 지켰습니다.
하지만 수주량으로는 하마터면 중국에 1위를 내 줄 정도로 차이가 좁혀져, 중소 조선사들의 경영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기봉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3년 일본을 제치고 선박 수주액 1위로 올라선 우리나라.
올해도 여전히 큰 액수 차이로 세계 1위 자리를 수성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주액은 300억 달러로, 각각 155억과 52억 달러에 그친 중국과 일본을 가볍게 따돌렸습니다.
하지만 수주량으로 따지면 상황이 약간 다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746만 CGT를 기록해 710만 CGT를 달성한 중국을 가까스로 제쳤지만 차이는 근소합니다.
그나마 11월까지는 중국에 뒤져있어 1위 자리를 뺏겼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였습니다.
수주 선박 한 척당 가격은 중국이 3670만 달러인 반면 우리는 3배 수준인 1억 3,570만 달러.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값이 비싼 고부가가치 선박의 비중이 그만큼 높은 것입니다.
하지만 이 말은 고부가가치 선박이 아닌 일반 선박의 수주는 그만큼 부진하다는 얘기입니다.
극소수 대형조선사를 제외한 나머지 대다수 조선사들은 그만큼 경영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일반 상선이나 어선 등 중소 조선사들의 주력 상품의 발주가 상대적으로 값이 싼 중국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홍성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중국 정부에서 대대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최근에 선박금융센터를 만들어서 금융 부문의 지원도 굉장히 집중적으로 할 그럴 계획을 발표를 했습니다."
반면 우리 조선업계는 금융권의 대출마저 더욱 까다로와져 아예 자금줄이 마르는 악순환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내년부터 도입되는 선박 배출가스 규제로 인해 새로운 엔진개발 등 연구개발비까지 필요한 실정이라 상황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조선업계는 새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활 방침에 실낱같은 기대를 걸고 있지만 실질적인 경영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YTN 김기봉[kgb@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