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김혜희, 서울 아파트 관리소장 / 조성태, 서울시 녹색에너지과 햇빛발전팀 팀장
[앵커]
전기요금 누진제 압박에도 마음이 좀 편한 곳이 있다고 합니다.
에너지자립 마을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가정집이나 경비실에 태양광 발전기를 달고 또 이런 곳 저런 곳에서 새는 에너지도 절약하는 똑똑한 마을인데요.
김혜희 방학대원그린아파트 관리소장 모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세요.
[앵커]
소장님 아파트는 그러니까 지금 경비실에서도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 수 있고 또 가정집에서도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이게 다 태양광 발전기 때문인가요?
[인터뷰]
네. 저희 아파트에 경비실에 태양광 발전기 6대를 달았거든요. 그 6대도 경진대회 상금을 받아서 단 거고 에어컨도 태양광에서 생성되는 전기로 충당해서 쓰고 있어요.
[앵커]
지금 저희가 화면으로 보고 있는 저것인 거죠?
[인터뷰]
지붕 위에 달려있는 거요. 그리고 세대에서는 태양광을 달기 전과 후를 비교해 봤을 때 달고 나니까 아무래도 그 전기 소모량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그리고 이것이 가끔가다가 계량기가 아날로그 방식이니까 거꾸로 돌 때가 있어요.
집에서 쓰는 전기와 태양광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비교해서 집에서 쓰는 전기가 적으면 태양광에서 생성되는 전기가 더 많으니까 거꾸로 보면 눈으로 직접 확인해 보는 그런 재미가 있습니다.
[앵커]
그런 재미도 있군요. 실제로 그러면 태양광 발전 이후에 전기요금이 얼마나 줄었는지 이것도 궁금하거든요. 예를 들어서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인터뷰]
그래서 한 세대가 2014년 6월에는 316킬로와트에서 5만 2000원을 썼고 2015년 6월에서 278킬로와트 3만 9000원을 썼고 2016년 6월에는 2만 5590원을 썼어요.
그래서 여기에서 5만 2000원에서 3만 9000원을 떨어졌을 때는 누진제가 깎여졌고 태양광을 설치해서 1만 1000원이 줄어들었고 3만 9000원에서 2만 5000원으로 줄어들 때는 태양광 덕분도 있지만 이 세대가 에코하우스 세대라고 해서 무슨 LED 전등, LED 조명등, 이중창, 그다음에 보일러도 고효율 보일러 그런 것으로 다 해서 전기료가 절감되었다고 봅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금 설치 이후에 한 1만 2000원 정도 준 게 저게 태양광 발전기 때문에 그런 거고요. 그 이후에 또 지금 1만 4000원 정도 준 것은 다른 여러 가지 에너지 절약을 해서 또 줄인 금액이라는 말씀이신 거죠?
[인터뷰]
맞습니다. 태양광도 물론 포함된 가격이고요.
[앵커]
지금 관리하고 계신 아파트 세대수가 얼마나 됩니까?
[인터뷰]
저희 아파트는 220세대예요.
[앵커]
소장님 저를 좀 보고 이야기를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220세대입니다.
[앵커]
그중에서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한 세대가 몇 세대나 되나요?
[인터뷰]
53세대입니다.
[앵커]
그러면 모두 설치한 건 아니네요? 이유가 있을까요?
[인터뷰]
설치를 안 하신 분들은 전기에 대해서 전혀 관심이 없는 분들이에요. 이런 분들을 어떻게 적극적으로 설득을 시켜서 무슨 에코마일리지도 가입하고 에너지클리닉 진단도 받게 하고 태양광도 달게 해서 인식 전환을 계기로 삼아서 적극적으로 설득해 볼 예정입니다.
[앵커]
지금 계속 설득작업을 하고 계신 거고요, 잘 몰라서 그럴 수 있으니까.
[인터뷰]
이분들이 저희가 아파트가 작은 세대이다 보니까 300킬로와트 쓰는 분들은 18분밖에 안 되는데 이분들을 적극적으로 설득해서 일단 그 이하로 떨어뜨려 볼 예정입니다.
[앵커]
그러면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해야 되잖아요. 비용이 얼마나 드나요?
[인터뷰]
비용은 회사마다 약간씩 비용은 다른데 저희 회사 제품은 일단 총비용은 66만 원인데 거기에서 33만 원을 서울시에서 지원을 받고 나머지 33만 원 중에서 자립마을 지원금이 있어요. 또 20명 이상이면 인센티브 10만 원을 받아요. 그래서 본인 자부담금은 13만 원 정도면 설치할 수 있어요.
[앵커]
그러면 다 빼면 13만 원 정도면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실제로 비용은 얼마 안 드네요?
[인터뷰]
얼마 안 들어요. 이건 자립마을이기 때문에 혜택을 볼 수 있어요.
[앵커]
그렇군요. 그러면 지금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태양광 발전기 지원을 하고 있는 서울시를 여기서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성태 서울시 녹색에너지과 햇빛발전팀 팀장님 전화 연결돼 있는데요. 조 팀장님, 나와계십니까?
[인터뷰]
네, 안녕하세요. 조성태입니다.
[앵커]
안녕하세요. 지금 관리소장님 얘기 듣다 보니까 보조금 때문에 설치 비용도 많이 줄었다고 하는데 설치비용이 어느 정도이고 보조금을 실제로 어느 정도 지원을 하고 계신지 구체적으로 설명을 더 해 주세요.
[인터뷰]
다양한 제품들이 있어서 설치 비용을 일괄적으로 말씀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260와트급 베란다형인 경우 제품 가격은 60만 원 대이고 서울시에서 50% 정도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공동설치의 경우 10에서 19가구 정도는 5만 원, 20가구 이상은 10만 원 정도의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아까 관리소장님 말씀으로라면 에너지 자립마을에 들어가 있다, 그러면 또 지원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인터뷰]
에너지자립마을의 경우 1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실제로 전기요금 절감 효과는 어느 정도나 되나요?
[인터뷰]
주택용 전기요금은 누진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가정에 따라 사용량이 약간 절감액에 차이가 있으나 2015년 서울 가구당 평균 전기사용량인 304킬로와트아워를 기준으로 할 때 260와트 베란다형 설치시 약 8300원의 요금이 절약됩니다.
[앵커]
304킬로와트아워이면 얼마나 나오는 거죠?
[인터뷰]
304킬로와트아워면 전기요금이 원래 4만 8000원 정도 나오는데요. 설치 후에는 약 3만 9000원 정도 나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4만 원 조금 넘는 금액 가운데 8300원 전기 요금 절약이면 꽤 되는 것 같은데 신청하면 되는 거죠,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거죠?
[인터뷰]
네. 서울에 거주하는 분들이면 누구나 가능하고요. 신청은 거주하시는 구청 환경과로 연결하면 되고요. 보급 업체가 현장을 답사해서 방향, 지장물 및 베란다 난간 상태를 파악해서 설치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팀장님, 그러면 전세세입자도 이런 태양광 발전기 신청하면 설치할 수 있나요?
[인터뷰]
설치가 가능합니다.
[앵커]
그러면 또 고장났을 때 AS 체계는 어떻게 되나요, 고쳐주나요?
[인터뷰]
서울시는 발전기 보급시 5년간 무상 AS을 제공하게 했는데 사후 점검도 1년에 1회 이상 의무화하였습니다. 다만 5년이 도래하거나 중도에 포기한 업체가 설치한 설비가 AS를 위해서 우수업체를 선정해서 중점관리하도록 AS 체계를 금년 하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
[앵커]
AS체계까지 다 마련돼 있군요. 알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앵커]
지금까지 조성태 녹색에너지과 햇빛발전팀장이었습니다. 소장님 태양광 발전기 처음에 어떻게 알고 아파트에서 실천하게 되셨나요?
[인터뷰]
저희 아파트 주민 중 한 분이 인터넷에서 보고 자립마을 계획서를 가지고 오셨어요. 처음에는 계획서를 갖고 와서 우리도 이런 것을 해 보자 하는 것도 있었고 요즘에 층간소음이 많이 발생되고그런 문제가 있어서 우리가 에너지라는 매개체로 해서 우리가 층별로 1층, 101호, 201호해서 1201호까지 묶어서 한번 층간소음도 해결해 보고 저희가 작은 평수의 서민 아파트예요.
그래서 공동전기료도 줄여보고 세대 전기료도 줄여보자, 관리비 절감도 해 보자, 그런 차원에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앵커]
그래도 인쇄물을 보고 그냥 넘길 수도 있는데 이게 또 이야기가 되겠다고 해서 소장님이 실천하신 거군요.
[인터뷰]
한 가지 더 저희 아파트가 조금 시끄러웠어요. 시끄러운 아파트라서 에너지로 어떻게 주민들과 해 볼까 해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에너지도 절약하고 전기요금도 줄이고 또 주민 화합도 도모할 수 있고 일석삼조 아주 좋은 실천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김혜희 방학대원 그린아파트 관리소장님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앵커]
전기요금 누진제 압박에도 마음이 좀 편한 곳이 있다고 합니다.
에너지자립 마을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가정집이나 경비실에 태양광 발전기를 달고 또 이런 곳 저런 곳에서 새는 에너지도 절약하는 똑똑한 마을인데요.
김혜희 방학대원그린아파트 관리소장 모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세요.
[앵커]
소장님 아파트는 그러니까 지금 경비실에서도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 수 있고 또 가정집에서도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이게 다 태양광 발전기 때문인가요?
[인터뷰]
네. 저희 아파트에 경비실에 태양광 발전기 6대를 달았거든요. 그 6대도 경진대회 상금을 받아서 단 거고 에어컨도 태양광에서 생성되는 전기로 충당해서 쓰고 있어요.
[앵커]
지금 저희가 화면으로 보고 있는 저것인 거죠?
[인터뷰]
지붕 위에 달려있는 거요. 그리고 세대에서는 태양광을 달기 전과 후를 비교해 봤을 때 달고 나니까 아무래도 그 전기 소모량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그리고 이것이 가끔가다가 계량기가 아날로그 방식이니까 거꾸로 돌 때가 있어요.
집에서 쓰는 전기와 태양광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비교해서 집에서 쓰는 전기가 적으면 태양광에서 생성되는 전기가 더 많으니까 거꾸로 보면 눈으로 직접 확인해 보는 그런 재미가 있습니다.
[앵커]
그런 재미도 있군요. 실제로 그러면 태양광 발전 이후에 전기요금이 얼마나 줄었는지 이것도 궁금하거든요. 예를 들어서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인터뷰]
그래서 한 세대가 2014년 6월에는 316킬로와트에서 5만 2000원을 썼고 2015년 6월에서 278킬로와트 3만 9000원을 썼고 2016년 6월에는 2만 5590원을 썼어요.
그래서 여기에서 5만 2000원에서 3만 9000원을 떨어졌을 때는 누진제가 깎여졌고 태양광을 설치해서 1만 1000원이 줄어들었고 3만 9000원에서 2만 5000원으로 줄어들 때는 태양광 덕분도 있지만 이 세대가 에코하우스 세대라고 해서 무슨 LED 전등, LED 조명등, 이중창, 그다음에 보일러도 고효율 보일러 그런 것으로 다 해서 전기료가 절감되었다고 봅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금 설치 이후에 한 1만 2000원 정도 준 게 저게 태양광 발전기 때문에 그런 거고요. 그 이후에 또 지금 1만 4000원 정도 준 것은 다른 여러 가지 에너지 절약을 해서 또 줄인 금액이라는 말씀이신 거죠?
[인터뷰]
맞습니다. 태양광도 물론 포함된 가격이고요.
[앵커]
지금 관리하고 계신 아파트 세대수가 얼마나 됩니까?
[인터뷰]
저희 아파트는 220세대예요.
[앵커]
소장님 저를 좀 보고 이야기를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220세대입니다.
[앵커]
그중에서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한 세대가 몇 세대나 되나요?
[인터뷰]
53세대입니다.
[앵커]
그러면 모두 설치한 건 아니네요? 이유가 있을까요?
[인터뷰]
설치를 안 하신 분들은 전기에 대해서 전혀 관심이 없는 분들이에요. 이런 분들을 어떻게 적극적으로 설득을 시켜서 무슨 에코마일리지도 가입하고 에너지클리닉 진단도 받게 하고 태양광도 달게 해서 인식 전환을 계기로 삼아서 적극적으로 설득해 볼 예정입니다.
[앵커]
지금 계속 설득작업을 하고 계신 거고요, 잘 몰라서 그럴 수 있으니까.
[인터뷰]
이분들이 저희가 아파트가 작은 세대이다 보니까 300킬로와트 쓰는 분들은 18분밖에 안 되는데 이분들을 적극적으로 설득해서 일단 그 이하로 떨어뜨려 볼 예정입니다.
[앵커]
그러면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해야 되잖아요. 비용이 얼마나 드나요?
[인터뷰]
비용은 회사마다 약간씩 비용은 다른데 저희 회사 제품은 일단 총비용은 66만 원인데 거기에서 33만 원을 서울시에서 지원을 받고 나머지 33만 원 중에서 자립마을 지원금이 있어요. 또 20명 이상이면 인센티브 10만 원을 받아요. 그래서 본인 자부담금은 13만 원 정도면 설치할 수 있어요.
[앵커]
그러면 다 빼면 13만 원 정도면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실제로 비용은 얼마 안 드네요?
[인터뷰]
얼마 안 들어요. 이건 자립마을이기 때문에 혜택을 볼 수 있어요.
[앵커]
그렇군요. 그러면 지금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태양광 발전기 지원을 하고 있는 서울시를 여기서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성태 서울시 녹색에너지과 햇빛발전팀 팀장님 전화 연결돼 있는데요. 조 팀장님, 나와계십니까?
[인터뷰]
네, 안녕하세요. 조성태입니다.
[앵커]
안녕하세요. 지금 관리소장님 얘기 듣다 보니까 보조금 때문에 설치 비용도 많이 줄었다고 하는데 설치비용이 어느 정도이고 보조금을 실제로 어느 정도 지원을 하고 계신지 구체적으로 설명을 더 해 주세요.
[인터뷰]
다양한 제품들이 있어서 설치 비용을 일괄적으로 말씀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260와트급 베란다형인 경우 제품 가격은 60만 원 대이고 서울시에서 50% 정도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공동설치의 경우 10에서 19가구 정도는 5만 원, 20가구 이상은 10만 원 정도의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아까 관리소장님 말씀으로라면 에너지 자립마을에 들어가 있다, 그러면 또 지원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인터뷰]
에너지자립마을의 경우 1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실제로 전기요금 절감 효과는 어느 정도나 되나요?
[인터뷰]
주택용 전기요금은 누진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가정에 따라 사용량이 약간 절감액에 차이가 있으나 2015년 서울 가구당 평균 전기사용량인 304킬로와트아워를 기준으로 할 때 260와트 베란다형 설치시 약 8300원의 요금이 절약됩니다.
[앵커]
304킬로와트아워이면 얼마나 나오는 거죠?
[인터뷰]
304킬로와트아워면 전기요금이 원래 4만 8000원 정도 나오는데요. 설치 후에는 약 3만 9000원 정도 나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4만 원 조금 넘는 금액 가운데 8300원 전기 요금 절약이면 꽤 되는 것 같은데 신청하면 되는 거죠,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거죠?
[인터뷰]
네. 서울에 거주하는 분들이면 누구나 가능하고요. 신청은 거주하시는 구청 환경과로 연결하면 되고요. 보급 업체가 현장을 답사해서 방향, 지장물 및 베란다 난간 상태를 파악해서 설치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팀장님, 그러면 전세세입자도 이런 태양광 발전기 신청하면 설치할 수 있나요?
[인터뷰]
설치가 가능합니다.
[앵커]
그러면 또 고장났을 때 AS 체계는 어떻게 되나요, 고쳐주나요?
[인터뷰]
서울시는 발전기 보급시 5년간 무상 AS을 제공하게 했는데 사후 점검도 1년에 1회 이상 의무화하였습니다. 다만 5년이 도래하거나 중도에 포기한 업체가 설치한 설비가 AS를 위해서 우수업체를 선정해서 중점관리하도록 AS 체계를 금년 하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
[앵커]
AS체계까지 다 마련돼 있군요. 알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앵커]
지금까지 조성태 녹색에너지과 햇빛발전팀장이었습니다. 소장님 태양광 발전기 처음에 어떻게 알고 아파트에서 실천하게 되셨나요?
[인터뷰]
저희 아파트 주민 중 한 분이 인터넷에서 보고 자립마을 계획서를 가지고 오셨어요. 처음에는 계획서를 갖고 와서 우리도 이런 것을 해 보자 하는 것도 있었고 요즘에 층간소음이 많이 발생되고그런 문제가 있어서 우리가 에너지라는 매개체로 해서 우리가 층별로 1층, 101호, 201호해서 1201호까지 묶어서 한번 층간소음도 해결해 보고 저희가 작은 평수의 서민 아파트예요.
그래서 공동전기료도 줄여보고 세대 전기료도 줄여보자, 관리비 절감도 해 보자, 그런 차원에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앵커]
그래도 인쇄물을 보고 그냥 넘길 수도 있는데 이게 또 이야기가 되겠다고 해서 소장님이 실천하신 거군요.
[인터뷰]
한 가지 더 저희 아파트가 조금 시끄러웠어요. 시끄러운 아파트라서 에너지로 어떻게 주민들과 해 볼까 해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에너지도 절약하고 전기요금도 줄이고 또 주민 화합도 도모할 수 있고 일석삼조 아주 좋은 실천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김혜희 방학대원 그린아파트 관리소장님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