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서울시내 240여 지구에서 주거환경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이사 비용이나 보상을 둘러싸고 곳곳에서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이강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재개발을 앞둔 한 뉴타운 사업 예정지.
한창 철거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몇몇 주민들은 이사를 가지 못하고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이경, 재개발 예정지 세입자]
"전기는 세번이나 끊겼고, 도시가스도 말없이 끊어가지고 하룻밤을..."
이사를 가지 않고 버티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세입자들이 이주비로 받은 돈은 1,500만 원 남짓입니다.
여기에 전세 보증금을 더해도 이사갈 곳을 찾기는 쉽지 않다는 하소연입니다.
[인터뷰:김완숙, 재개발 예정지 세입자]
"보증금 600에 30이거든요. 이주비 1,500 더한 걸로는 서울 시내에서 전혀 갈 곳이 없어요."
실제로 재개발 사업 이후에 저소득 주민들이 살 수 있는 전셋방을 구하기가 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실적인 이주 대책을 요구하는 주민들과 법적인 보상만을 내세우는 개발 사업자들이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보상에 불만을 갖고 있는 주민들은 서울시에 집단 이주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전종택, 재개발 예정지 세입자]
"보상금 더 받으려는 목적이 아니고, 현실적인 이주대책을 원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민들의 요구를 그대로 들어줄만한 법적인 근거나 대책은 미흡한 실정입니다.
[녹취:정유승, 서울시 재정비사업 담당관]
"집단 이주 대책은 도시계획사업 등 공공사업의 경우 이주 대책을 세우게 돼 있고, 민간 사업의 경우 임대주택이나 주거이전비,휴업 보상비를 주도록 법적으로..."
현실적인 보상이나 이주 정책 없이 재개발을 추진하면서 갈등은 되풀이될 수밖에 없습니다.
서울시에서 정비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은 247곳.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용산 재개발 사건 같은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는 불씨가 여전합니다.
YTN 이강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내 240여 지구에서 주거환경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이사 비용이나 보상을 둘러싸고 곳곳에서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이강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재개발을 앞둔 한 뉴타운 사업 예정지.
한창 철거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몇몇 주민들은 이사를 가지 못하고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이경, 재개발 예정지 세입자]
"전기는 세번이나 끊겼고, 도시가스도 말없이 끊어가지고 하룻밤을..."
이사를 가지 않고 버티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세입자들이 이주비로 받은 돈은 1,500만 원 남짓입니다.
여기에 전세 보증금을 더해도 이사갈 곳을 찾기는 쉽지 않다는 하소연입니다.
[인터뷰:김완숙, 재개발 예정지 세입자]
"보증금 600에 30이거든요. 이주비 1,500 더한 걸로는 서울 시내에서 전혀 갈 곳이 없어요."
실제로 재개발 사업 이후에 저소득 주민들이 살 수 있는 전셋방을 구하기가 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실적인 이주 대책을 요구하는 주민들과 법적인 보상만을 내세우는 개발 사업자들이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보상에 불만을 갖고 있는 주민들은 서울시에 집단 이주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전종택, 재개발 예정지 세입자]
"보상금 더 받으려는 목적이 아니고, 현실적인 이주대책을 원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민들의 요구를 그대로 들어줄만한 법적인 근거나 대책은 미흡한 실정입니다.
[녹취:정유승, 서울시 재정비사업 담당관]
"집단 이주 대책은 도시계획사업 등 공공사업의 경우 이주 대책을 세우게 돼 있고, 민간 사업의 경우 임대주택이나 주거이전비,휴업 보상비를 주도록 법적으로..."
현실적인 보상이나 이주 정책 없이 재개발을 추진하면서 갈등은 되풀이될 수밖에 없습니다.
서울시에서 정비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은 247곳.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용산 재개발 사건 같은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는 불씨가 여전합니다.
YTN 이강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