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서울 강남에 무허가 판자촌이 밀집해 있는 포이동 재건마을에서 큰 불이 났습니다.
인근 고물상에서 난 불이 옮겨붙은 것인데,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주민들은 졸지에 이재민 신세가 됐습니다.
사당동 주택가에서는 전신주가 쓰러져 인근 1,000여 가구에 전기 공급이 끊기기도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사건 사고 소식 알아봅니다. 최영주 기자!
포이동 화재 소식 알아보죠.
불이 마을 인근에 있던 고물상에서 시작됐다는데 화재 원인이 나왔습니까?
[중계 리포트]
아직 정확한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불은 어제 오후 4시 50분쯤, 서울 개포동 그러니까 옛 포이동에 있는 한 폐기물 야적장에서 시작됐는데요, 무허가 판자촌인 재건마을까지 불이 번지면서 시커먼 연기와 함께 불길이 크게 치솟았습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90여 가구 270여 명의 주민들이 모두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습니다.
또 이 불로 판잣집 50여 채가 불에 타 무너졌고, 일대 2,300㎡가 타 모두 6,500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습니다.
소방 당국은 소방헬기 2대와 소방차 70여 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인 끝에 한 시간 10여 분 만에 큰 불길은 잡았습니다.
화재 발생으로는 대규모 인력이 동원된 것인데요, 길이 좁고 인화성 물질이 많아 진화작업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질문]
인명 피해가 없어 다행이지만 재건마을 주민들이 당장 머물 곳이 사라진 것인데요.
지금 어디로 대피한 것입니까?
[답변]
주민들은 밤사이 마을을 떠나지 않고 있습니다.
당초 강남구청 측은 인근 구룡초등학교 체육관으로 거처를 옳기라고 요청했지만 이를 거부한 것입니다.
마을을 비우면 구에서 당장 철거반을 투입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인데요, 일명 '자활 근로대 마을'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서울의 대표적인 무허가 판자촌입니다.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지난 1981년 정부가 도시 빈민을 '자활근로대'라는 이름으로 강제 이주시키면서 형성된 빈민촌입니다.
이렇된 형성된 마을은 당시 '포이동 266번지'로 불렸었지만, 1989년 이후 행정구역을 변경하면서 개포동에 포함됐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행정구역이 바뀌면서 이곳이 불법 점유지로 분류됐고, 거주자들의 주민등록도 말소됐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공유지 불법 점유자가 된 주민들에게 가구당 많게는 1억 원까지 토지변상금이 부과됐는데요, 이 곳 주민들은 대부분 고물을 수집해 내다팔아 근근히 생계를 잇고 있는 사람들로, 변상금 문제를 놓고 정부와 대립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관할 행정당국에 대한 뿌리깊은 불신 탓에 주민들 대부분이 화재가 난 현장을 떠나지 않고 있는 것인데요, 주민들은 당장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오늘 오전 11시 마을에서 서울시와 강남구 등에 피해 대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 강남에 무허가 판자촌이 밀집해 있는 포이동 재건마을에서 큰 불이 났습니다.
인근 고물상에서 난 불이 옮겨붙은 것인데,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주민들은 졸지에 이재민 신세가 됐습니다.
사당동 주택가에서는 전신주가 쓰러져 인근 1,000여 가구에 전기 공급이 끊기기도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사건 사고 소식 알아봅니다. 최영주 기자!
포이동 화재 소식 알아보죠.
불이 마을 인근에 있던 고물상에서 시작됐다는데 화재 원인이 나왔습니까?
[중계 리포트]
아직 정확한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불은 어제 오후 4시 50분쯤, 서울 개포동 그러니까 옛 포이동에 있는 한 폐기물 야적장에서 시작됐는데요, 무허가 판자촌인 재건마을까지 불이 번지면서 시커먼 연기와 함께 불길이 크게 치솟았습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90여 가구 270여 명의 주민들이 모두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습니다.
또 이 불로 판잣집 50여 채가 불에 타 무너졌고, 일대 2,300㎡가 타 모두 6,500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습니다.
소방 당국은 소방헬기 2대와 소방차 70여 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인 끝에 한 시간 10여 분 만에 큰 불길은 잡았습니다.
화재 발생으로는 대규모 인력이 동원된 것인데요, 길이 좁고 인화성 물질이 많아 진화작업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질문]
인명 피해가 없어 다행이지만 재건마을 주민들이 당장 머물 곳이 사라진 것인데요.
지금 어디로 대피한 것입니까?
[답변]
주민들은 밤사이 마을을 떠나지 않고 있습니다.
당초 강남구청 측은 인근 구룡초등학교 체육관으로 거처를 옳기라고 요청했지만 이를 거부한 것입니다.
마을을 비우면 구에서 당장 철거반을 투입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인데요, 일명 '자활 근로대 마을'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서울의 대표적인 무허가 판자촌입니다.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지난 1981년 정부가 도시 빈민을 '자활근로대'라는 이름으로 강제 이주시키면서 형성된 빈민촌입니다.
이렇된 형성된 마을은 당시 '포이동 266번지'로 불렸었지만, 1989년 이후 행정구역을 변경하면서 개포동에 포함됐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행정구역이 바뀌면서 이곳이 불법 점유지로 분류됐고, 거주자들의 주민등록도 말소됐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공유지 불법 점유자가 된 주민들에게 가구당 많게는 1억 원까지 토지변상금이 부과됐는데요, 이 곳 주민들은 대부분 고물을 수집해 내다팔아 근근히 생계를 잇고 있는 사람들로, 변상금 문제를 놓고 정부와 대립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관할 행정당국에 대한 뿌리깊은 불신 탓에 주민들 대부분이 화재가 난 현장을 떠나지 않고 있는 것인데요, 주민들은 당장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오늘 오전 11시 마을에서 서울시와 강남구 등에 피해 대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