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가을 행락철을 맞아 해상국립공원이 낚시꾼들의 불법행위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취사를 하거나 쓰레기 버리는 일은 예사이고 출입이 금지된 지역도 마구잡이로 들어가기 일쑤입니다.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남 통영 비진도.
기암절벽 사이로 빨간 텐트가 눈에 띕니다.
낚시꾼들입니다.
텐트를 치고 낚싯대를 드리워 놓은 채 갯바위에서 술판을 벌입니다.
[인터뷰:낚시꾼]
"네, 알겠습니다. 알겠으니까. 됐습니다. 쓰레기 버리지도 않고 봉투에 (모아갈 겁니다.)"
근처의 또 다른 섬 춘복도.
화로와 석쇠로 음식을 한 현장이 적발됐습니다.
[인터뷰:단속요원]
"취사하셔서 위반하셨고요, 과태료 부가대상이십니다."
낚시꾼들이 거쳐간 뒤에는 바위틈 보이지 않는 곳이 쓰레기로 가득찹니다.
자연 생태가 잘 보존된 홍도 등 8개 섬은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됐지만 잘 지켜지지 않습니다.
[인터뷰:낚시꾼]
"원래는 앞에 저기 가려고 했는데 자리 없다고 여기 태워 줘 가지고 왔습니다."
국립공원에서 쓰레기를 버리거나 야영, 취사를 하면 과태료가 최소 10만 원입니다.
또 멸종위기종을 포함해 동·식물을 채취할 경우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양해승, 국립공원관리공단 차장]
"출입이 금지된 특정도서의 무단 출입행위, 오물투기, 자연자원 반출행위에 대한 집중단속을 실시하였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낚시꾼이 몰리는 행락철을 맞아 해경과 합동으로 지속적인 단속을 펼치기로 했습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가을 행락철을 맞아 해상국립공원이 낚시꾼들의 불법행위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취사를 하거나 쓰레기 버리는 일은 예사이고 출입이 금지된 지역도 마구잡이로 들어가기 일쑤입니다.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남 통영 비진도.
기암절벽 사이로 빨간 텐트가 눈에 띕니다.
낚시꾼들입니다.
텐트를 치고 낚싯대를 드리워 놓은 채 갯바위에서 술판을 벌입니다.
[인터뷰:낚시꾼]
"네, 알겠습니다. 알겠으니까. 됐습니다. 쓰레기 버리지도 않고 봉투에 (모아갈 겁니다.)"
근처의 또 다른 섬 춘복도.
화로와 석쇠로 음식을 한 현장이 적발됐습니다.
[인터뷰:단속요원]
"취사하셔서 위반하셨고요, 과태료 부가대상이십니다."
낚시꾼들이 거쳐간 뒤에는 바위틈 보이지 않는 곳이 쓰레기로 가득찹니다.
자연 생태가 잘 보존된 홍도 등 8개 섬은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됐지만 잘 지켜지지 않습니다.
[인터뷰:낚시꾼]
"원래는 앞에 저기 가려고 했는데 자리 없다고 여기 태워 줘 가지고 왔습니다."
국립공원에서 쓰레기를 버리거나 야영, 취사를 하면 과태료가 최소 10만 원입니다.
또 멸종위기종을 포함해 동·식물을 채취할 경우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양해승, 국립공원관리공단 차장]
"출입이 금지된 특정도서의 무단 출입행위, 오물투기, 자연자원 반출행위에 대한 집중단속을 실시하였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낚시꾼이 몰리는 행락철을 맞아 해경과 합동으로 지속적인 단속을 펼치기로 했습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