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매립지 충돌...해결책 찾나

수도권 매립지 충돌...해결책 찾나

2014.12.06. 오전 05: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인천시가 수도권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매립지의 사용을 2016년까지만 하겠다고 하면서 비상이 걸렸는데요.

일단, 가장 많은 쓰레기를 이곳에 버리는 서울시가 문제를 풀기 위한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고, 관련된 지자체들과 정부가 참여하는 협의도 시작될 것으로 보여 앞으로 추이가 주목됩니다.

보도에 이상순 기자입니다.

[기자]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에 대한 인천시의 최종 입장은 '원칙대로'였습니다.

[인터뷰: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저는 수도권 매립지의 2016년 매립 종료기한은 준수되어야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힙니다."

하지만 서울시장과 경기도 지사 환경부 장관이 참여하는 4자협의체를 제안하며 퇴로를 열어놨습니다.

매립지 소유권과 면허권, 매립지 관리공사를 인천에 넘기는 문제를 먼저 논의하자는 겁니다.

다음날, 박원순 서울시장이 화답했습니다.

[인터뷰:박원순, 서울시장]
"서울시는 이 과정에서 그 무엇보다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겠습니다. 진정으로 인천시와 인천시민의 입장에서 생각하겠습니다."

박 시장은 71.3%에 이르는 서울시의 매립지 지분을 인천에 이양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했습니다.

수도권 매립지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걸 서로 잘 알기 때문입니다.

인천시의 선결조건은 이미 1년전부터 서울시와 경기도 등의 실무선에서 의견이 오간 내용입니다.

때문에 매립지 사용 기한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문제는 지역주민들의 반발입니다.

[인터뷰:정경옥, 매립지종료투쟁위 공동위원장]
"하다못해 어린애들도 어른들이 가르칠 때 약속지키라고 하고, 자기 쓰레기는 자기가 치우라고 어렸을때부터 교육을 받습니다. 그런데 그 수많은 쓰레기를 왜 우리동네에 갖다 묻으려고 하는 거에요. 이제 싫다는 거에요."

이에 대해 인천시는 4자협의체를 통해 얻어낸 재원으로 지하철 7호선 연장 사업 등 지역개발을 앞당긴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정복 인천시장으로선 매립지 2016년 사용종료라는 공약을 스스로 파기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최종 결정까지는 적지않은 진통이 따를 전망입니다.

YTN 이상순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