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사실상 연장'...인천시 요구 전면 수용

수도권매립지 '사실상 연장'...인천시 요구 전면 수용

2015.01.09. 오후 5:5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2016년 사용 종료를 앞두고 있는 수도권 매립지의 사용기간이 연장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와 경기도, 환경부가 인천시의 선제적 조치 요구를 전면수용하는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보도에 이상순 기자입니다.

[기사]

수도권쓰레기매립지의 4자협의체가 전격적으로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서울시와 환경부는 수도권 매립지 매립면허권과 매립지 토지 소유권 전체를 인천시에 양도하고, 환경부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관할권을 인천시에 이관하기로 했습니다.

합의문에는 매립지 주변 지역의 개발 지원방안도 포함됐습니다.

4자 협의체가 인천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도시철도 7호선의 연장과 조기착공, 테마파크 조성사업 등을 위해 함께 힘을 모으기로 한겁니다.

또,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수수료의 50%를 가산세로 징수해 매립지 주변 환경개선과 주민지원등에 쓰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유정복 인천시장이 제안한 선제적 조치를 전면 수용한 것입니다.

[인터뷰:우승봉, 인천시청 대변인]
"그동안 인천시민들이 피해지역 최고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목소리를 못냈던게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번 합의를 통해서 수도권 매립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축이 되고 주도권을 쥐게 됐다는 점에서..."

문제는 매립지 인근지역의 들끓는 여론입니다.

[인터뷰:정경옥, 매립종료 투쟁위 공동위원장]
"이런 일을 벌이기 전에 주민과 소통하고 설득하는 과정을 가졌어야죠. 그런데 주민과 전혀 소통도 안하고 저희가 간담회를 요청했는데 바쁘다는 핑계로 응하지도 않고 있어요. 그러면 이게 도대체 누구를 위한 시장인가..."

인천시는 이를 감안해 이번 합의와 매립지 사용연장은 별개 사안이라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도권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지금 대체매립지를 찾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번 합의는 재정난이 극심한 인천시에겐 1조원이 넘는 경제적 이득이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이런 실리를 챙긴 대신 쓰레기를 떠안았다는 지역주민의 반발이 극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YTN 이상순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