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의 밖에 없나?...'컨트롤타워' 절실

공중보건의 밖에 없나?...'컨트롤타워' 절실

2015.04.01. 오전 04:3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의료취약지의 유일한 인력 공급 수단은 '공중보건의' 제도입니다.

그런데 이 공중보건의마저 해마다 줄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관련 부처인 보건복지부는 딱히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소관 부서별로 책임미루기에만 급급한 상황인데요.

정말 해결 방법이 없는 걸까요?

이어서 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우리나라 농어촌과 도서지역에서는 의료진 상당수를 '공중보건의'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병역의무를 끌어다 의료 공백을 메우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의료전문대학원이 등장하면서 군 복무를 마치고 의료계에 입문하는 사례가 늘고 여성 의료인 비율도 높아져 공중보건의는 매년 감소 추세입니다.

지역 의료 공백 문제가 갈수록 더 심각해진다는 건데, 보건복지부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공공의료 계획은 '공공의료과' 소관이지만, 공중보건의는 '건강정책과'가, 응급환자 관련은 '응급의료과'가 맡고 있어 종합적인 실태 파악과 대책 마련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보건복지부 A과 관계자]
"취약지 의료 정책을 논하고 한다면 원래 공공의료과고..."

[인터뷰:보건복지부 B과 관계자]
"보건지소라든지 공중보건의 문제라든지 이런 건 건강정책과에서 하고 있고요. 응급취약지 관련해서는 응급의료과에서 하고 있고..."

의료 인력의 지역 불균형 문제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하지만 미국과 호주 등 해외에서는 의료 취약지 근무를 조건으로 의대 입학 허가를 내주거나 장학금을 지급하는 방법으로 국가가 나서 의료 인력 양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종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글로벌의학센터장]
"지역사회를 위해서 일하겠다는 사람을 찾아내서 교육을 시키는 것이 제일 첫걸음이라고 봅니다. 대학병원에서 키우는 게 아니고 지역의 조그만 병원에서 임상실험도 시키고 교육도 시키고..."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유관기관의 의견을 모을 '컨트롤타워'를 마련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력 공급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YTN 나연수[ysna@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