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가슴과 명치 부분이 타는 듯 쓰리고 소화가 안 되며 신물이 목까지 넘어오는 증상, 바로 위식도 역류병입니다.
가정과 직장에서 가장 바쁜 일이 많을 때인 40~50대에 특히 많이 발병하는데 약보다는 생활습관을 고치는 게 중요합니다.
김기봉 기자입니다.
[기자]
즐거운 회식 자리에서 타는 듯한 통증으로 혼자서만 괴로워하는 직장인.
위-식도 역류병 환자의 남모를 고통입니다.
40대 직장인 박성순 씨도 1년을 넘게 이런 고생을 하다 결국 병원 치료를 받았습니다.
[인터뷰:박성순, 위-식도 역류병 경험자]
"아침에 속 쓰림이 가장 심했었고요, 가슴과 명치끝 쪽이 가장 쓰렸어요. 메스꺼움도 있었고요. 식사 후에 불편감도 있었고요."
위산은 물론 음식물까지 식도를 거슬러 올라와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질병, 위-식도 역류병입니다.
고열량과 고지방의 식습관과 비만, 음주·흡연과 과도한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입니다.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운동량은 줄면서 최근 4년새 환자 수가 37%나 늘어 2013년엔 3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가장 왕성하게 활동할 때인 40~50대 환자가 유난히 많아 전체 환자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 합니다.
병을 일으키기 쉬운 신체적 요건과 사회적 요건을 다 가졌기 때문입니다.
나이가 들면 식도와 위장의 경계에 있는 괄약근의 힘이 약해집니다.
여기에 바쁜 업무로 식사가 불규칙하고 잦은 술자리와 폭식, 스트레스와 흡연 같은 생활 습관까지 겹쳐지기 때문입니다.
급한 증상은 약으로 다스려야하지만 올바른 생활습관이 더 중요합니다.
[인터뷰:김지원, 서울대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체중이 나가는, 특히 복부 비만 환자들에게 많이 발생하니까 적절한 체중 관리가 중요하고, 음식은 규칙적으로 드시되 적정량을 드시고 음식을 드실 때 충분한 시간을 갖고 드셔야 합니다."
특히 얼핏 보기에 상관 없어보이는 흡연이 역류병의 주요 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담배를 피우면 식도 괄약근의 힘이 약해지고 위산이 과다분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YTN 김기봉[kgb@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가슴과 명치 부분이 타는 듯 쓰리고 소화가 안 되며 신물이 목까지 넘어오는 증상, 바로 위식도 역류병입니다.
가정과 직장에서 가장 바쁜 일이 많을 때인 40~50대에 특히 많이 발병하는데 약보다는 생활습관을 고치는 게 중요합니다.
김기봉 기자입니다.
[기자]
즐거운 회식 자리에서 타는 듯한 통증으로 혼자서만 괴로워하는 직장인.
위-식도 역류병 환자의 남모를 고통입니다.
40대 직장인 박성순 씨도 1년을 넘게 이런 고생을 하다 결국 병원 치료를 받았습니다.
[인터뷰:박성순, 위-식도 역류병 경험자]
"아침에 속 쓰림이 가장 심했었고요, 가슴과 명치끝 쪽이 가장 쓰렸어요. 메스꺼움도 있었고요. 식사 후에 불편감도 있었고요."
위산은 물론 음식물까지 식도를 거슬러 올라와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질병, 위-식도 역류병입니다.
고열량과 고지방의 식습관과 비만, 음주·흡연과 과도한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입니다.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운동량은 줄면서 최근 4년새 환자 수가 37%나 늘어 2013년엔 3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가장 왕성하게 활동할 때인 40~50대 환자가 유난히 많아 전체 환자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 합니다.
병을 일으키기 쉬운 신체적 요건과 사회적 요건을 다 가졌기 때문입니다.
나이가 들면 식도와 위장의 경계에 있는 괄약근의 힘이 약해집니다.
여기에 바쁜 업무로 식사가 불규칙하고 잦은 술자리와 폭식, 스트레스와 흡연 같은 생활 습관까지 겹쳐지기 때문입니다.
급한 증상은 약으로 다스려야하지만 올바른 생활습관이 더 중요합니다.
[인터뷰:김지원, 서울대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체중이 나가는, 특히 복부 비만 환자들에게 많이 발생하니까 적절한 체중 관리가 중요하고, 음식은 규칙적으로 드시되 적정량을 드시고 음식을 드실 때 충분한 시간을 갖고 드셔야 합니다."
특히 얼핏 보기에 상관 없어보이는 흡연이 역류병의 주요 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담배를 피우면 식도 괄약근의 힘이 약해지고 위산이 과다분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YTN 김기봉[kgb@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