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수박 고르실 때 꼭지를 보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이제는 다른 방법을 쓰셔야겠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꼭지 자른 수박을 팔겠다고 나섰기 때문인데요.
시중에 유통되는 T자형 꼭지로 다듬을 경우 가위질을 3번 더 해야 하고, 꼭지가 떨어지면 제값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꼭지가 없어도 당도 등에는 별 차이가 없다고 하네요.
누리꾼들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요.
댓글 보시죠.
"수박을 반으로 잘라보기 전까지 아무도 모르지."
"당분이랑 가격 유지한다면 소비자에게 나쁠 건 없을 듯. (꼭지 없는 수박 찬성!)"
"농민들의 사정도 이해하지만 수박은 꼭지가 생명이지."
"꼭지가 마른 수박은 오래된 거 아닌가? 그런데 그걸 없애면 어쩌나."
"이번 여름부터 수박 대신 다른 과일을 먹어야겠군."
"비용이 절감된다면 당연히 가격도 내리겠죠?"
누리꾼들의 의견은 나뉘었는데요.
꼭지 없는 수박, 여러분들이 보시기엔 어떻습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런데 이제는 다른 방법을 쓰셔야겠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꼭지 자른 수박을 팔겠다고 나섰기 때문인데요.
시중에 유통되는 T자형 꼭지로 다듬을 경우 가위질을 3번 더 해야 하고, 꼭지가 떨어지면 제값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꼭지가 없어도 당도 등에는 별 차이가 없다고 하네요.
누리꾼들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요.
댓글 보시죠.
"수박을 반으로 잘라보기 전까지 아무도 모르지."
"당분이랑 가격 유지한다면 소비자에게 나쁠 건 없을 듯. (꼭지 없는 수박 찬성!)"
"농민들의 사정도 이해하지만 수박은 꼭지가 생명이지."
"꼭지가 마른 수박은 오래된 거 아닌가? 그런데 그걸 없애면 어쩌나."
"이번 여름부터 수박 대신 다른 과일을 먹어야겠군."
"비용이 절감된다면 당연히 가격도 내리겠죠?"
누리꾼들의 의견은 나뉘었는데요.
꼭지 없는 수박, 여러분들이 보시기엔 어떻습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