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1주기 추모식 놓고도 정부·유가족 '갈등'

세월호 1주기 추모식 놓고도 정부·유가족 '갈등'

2015.04.15. 오후 6:5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세월호 1주기'인 내일 지방자치단체 주관으로 안산과 진도 팽목항 등에서 희생자 추모제가 열립니다.

정부는 유가족들이 많이 참석하는 안산 추모제에 참석하는 대신 별도로 안전 관련 대규모 행사를 열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홍석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세월호 1주기를 맞아 정부가 주최하는 공식 추모식은 없습니다.

다만, 재난·안전 총괄부처인 국민안전처 중심으로 '국민안전 다짐대회'가 열립니다.

안전처는 지난 연말 통과된 재난안전기본법에 따라 안전의식 고취와 대형사고 재발방지 다짐을 위해 이번 대회를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회 안전혁신특위 의원들, 안전 관련 전국 자자체 직원과 사회단체, 세월호 유족 일부 등 천여 명에게 초청장을 보냈습니다.

[인터뷰: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
"대한민국의 안전에 대한 미래를 갖다 생각하는 그런 다짐에 관한 컨셉트를 잡고, 안산이라든지 인천 일반 유가족, 진도군에서 하는 그런 것은 추모 컨셉트를 가지고 두 개의 축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는 시점에서, 정부가 추모식 대신 별도의 다른 행사를 기획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인터뷰:우혜린, 대학생]
"(국민안전 다짐대회가) 시민들이 원하는 행사인지, 지금 안전을 위한 행사가 의미가 있는지 한번 다시 생각해봤음 싶습니다."

유가족들은 현재 선체 인양과 세월호특별법 시행령 폐기에 대한 대통령의 결단과 안산 추모제 직접 참석을 강하게 촉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통령이 안산 추모식에 참석하지 않으면 유가족들도 참석하지 않겠다는 뜻도 공개했습니다.

앞서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1주기 당일 해외순방에 앞서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 일정을 가질 예정이라고 공개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유가족들이 강하게 요구하는 안산 추모제 참석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세월호 1년.

추모제 이후에 정부와 유족 간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지나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YTN 홍석근[hsk8027@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