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교수와 제자 사이 성희롱·성폭력 문제가 잇따르면서 문제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교수의 권력을 이용한 성 문제가 잦은 만큼 무관용 원칙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됐습니다.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제자들을 상습적으로 추행한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강석진 전 교수에게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이 선고됐습니다.
재판부는 강 전 교수가 지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교수의 권력형 성 문제가 잇따르자 해결방안을 찾기 위한 포럼이 열렸습니다.
[박찬성,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전문위원]
"학외에서 사적 자리를 요구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 학생 입장에서는 교수·강사의 우월적 권력지위로 인해 거절하기 굉장히 어려웠고…."
여기에 피해 학생들로서는 취업과 진로가 걸려있어 만행을 외부에 알리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진단됐습니다.
해결 방안으로는 무관용 원칙이 거론됐습니다.
단순 정직이나 보직변경이 아닌 해임이나 파면 등으로 교수를 학교에서 아예 배제해야 한다는 겁니다.
[신상숙,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부소장]
"대처할 때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제삼자들의 이해와 관점의 협조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공동체 관점에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해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고요."
또 성폭력 상담사 한 명이 상담에서 사건 조사까지 도맡는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그런 만큼 이를 이원화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대안으로 제시됐습니다.
YTN 최아영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교수와 제자 사이 성희롱·성폭력 문제가 잇따르면서 문제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교수의 권력을 이용한 성 문제가 잦은 만큼 무관용 원칙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됐습니다.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제자들을 상습적으로 추행한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강석진 전 교수에게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이 선고됐습니다.
재판부는 강 전 교수가 지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교수의 권력형 성 문제가 잇따르자 해결방안을 찾기 위한 포럼이 열렸습니다.
[박찬성,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전문위원]
"학외에서 사적 자리를 요구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 학생 입장에서는 교수·강사의 우월적 권력지위로 인해 거절하기 굉장히 어려웠고…."
여기에 피해 학생들로서는 취업과 진로가 걸려있어 만행을 외부에 알리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진단됐습니다.
해결 방안으로는 무관용 원칙이 거론됐습니다.
단순 정직이나 보직변경이 아닌 해임이나 파면 등으로 교수를 학교에서 아예 배제해야 한다는 겁니다.
[신상숙,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부소장]
"대처할 때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제삼자들의 이해와 관점의 협조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공동체 관점에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해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고요."
또 성폭력 상담사 한 명이 상담에서 사건 조사까지 도맡는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그런 만큼 이를 이원화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대안으로 제시됐습니다.
YTN 최아영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