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어제 새벽(31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되면서 박 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는 세 번째로 구속됐습니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는 이르면 이틀 뒤인 오는 3일부터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데, 박 전 대통령이 있는 서울구치소에서 방문 조사로 진행하는 방안이 유력해 보입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두희 기자!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 일단 주말엔 좀 어려울 것 같은데 만약 재개하게 될 경우엔 구치소를 방문 조사하는 방안이 유력하죠?
[기자]
당장 오늘부터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가 이뤄지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검찰이 먼저 박 전 대통령이 구치소 안에서 어느 정도 마음을 정리할 시간을 주고 협조를 유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르면 다음 주 초인 3일쯤부터 검찰 조사를 재개할 전망입니다.
다만, 검찰은 주말인 오늘과 내일 관련자들에 대한 비공개 소환 조사는 계속할 예정입니다.
또 박 전 대통령 조사 방식과 관련해 검찰에선 아직 정해진 건 없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는데요.
일단 검찰 청사로 박 전 대통령을 소환 조사하는 방식보다는 검사와 수사관들이 직접 구치소로 이동해 방문 조사를 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의 경호 문제가 있는 데다 소환 조사에 불응할 경우에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도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앞서 노태우, 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우에도 검찰이 구치소와 교도소로 찾아가 조사를 벌였던 전례까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박 전 대통령이 있는 서울구치소 안에서는 임시 조사실을 따로 만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일단 박 전 대통령의 13가지 혐의 가운데 특히, 박 전 대통령이 강하게 부인하고 있는 뇌물 혐의 등에 대해선 보강수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 추가로 새로운 혐의를 찾기보다는, 그동안 수사를 통해 드러난 범죄사실을 구성하고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둘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박 전 대통령의 구속 시한은 오는 19일까지입니다.
하지만 대선 선거운동이 오는 17일 시작되는 만큼, 검찰은 그 전에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기소까지 마무리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앵커]
박 전 대통령이 구속되면서, 이제 SK나 롯데 등 다른 대기업 수사, 그리고 우병우 전 청와대 수석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죠?
[기자]
검찰의 다음 목표는 롯데와 SK 등 대기업 수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하게 돼 앞으로 박 전 대통령을 여러 차례 조사해 혐의를 캐물을 수 있게 됐는데요.
검찰은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SK와 롯데가 특혜를 바라고 미르와 K스포츠재단에 출연금을 낸 정황과 관련해서 관계자들을 추가로 불러 조사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는 강요에 따라 마지못해 돈을 낸 피해자로 분류됐지만, 이들 기업도 삼성처럼 뇌물죄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
앞서 검찰은 롯데그룹의 뇌물공여 의혹과 관련해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소환 일정이 아직 정해진 게 없다며 필요하면 조사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국정농단 사태를 묵인하거나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우병우 전 청와대 수석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검찰은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를 우 전 수석이 세월호 수사에 압력을 끼쳤다는 의혹과 공무원 인사에 부당 개입했다는 의혹 등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수사 역시 공식 선거운동 시작 전에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중앙지검에서 YTN 최두희[dh0226@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어제 새벽(31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되면서 박 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는 세 번째로 구속됐습니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는 이르면 이틀 뒤인 오는 3일부터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데, 박 전 대통령이 있는 서울구치소에서 방문 조사로 진행하는 방안이 유력해 보입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두희 기자!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 일단 주말엔 좀 어려울 것 같은데 만약 재개하게 될 경우엔 구치소를 방문 조사하는 방안이 유력하죠?
[기자]
당장 오늘부터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가 이뤄지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검찰이 먼저 박 전 대통령이 구치소 안에서 어느 정도 마음을 정리할 시간을 주고 협조를 유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르면 다음 주 초인 3일쯤부터 검찰 조사를 재개할 전망입니다.
다만, 검찰은 주말인 오늘과 내일 관련자들에 대한 비공개 소환 조사는 계속할 예정입니다.
또 박 전 대통령 조사 방식과 관련해 검찰에선 아직 정해진 건 없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는데요.
일단 검찰 청사로 박 전 대통령을 소환 조사하는 방식보다는 검사와 수사관들이 직접 구치소로 이동해 방문 조사를 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의 경호 문제가 있는 데다 소환 조사에 불응할 경우에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도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앞서 노태우, 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우에도 검찰이 구치소와 교도소로 찾아가 조사를 벌였던 전례까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박 전 대통령이 있는 서울구치소 안에서는 임시 조사실을 따로 만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일단 박 전 대통령의 13가지 혐의 가운데 특히, 박 전 대통령이 강하게 부인하고 있는 뇌물 혐의 등에 대해선 보강수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 추가로 새로운 혐의를 찾기보다는, 그동안 수사를 통해 드러난 범죄사실을 구성하고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둘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박 전 대통령의 구속 시한은 오는 19일까지입니다.
하지만 대선 선거운동이 오는 17일 시작되는 만큼, 검찰은 그 전에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기소까지 마무리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앵커]
박 전 대통령이 구속되면서, 이제 SK나 롯데 등 다른 대기업 수사, 그리고 우병우 전 청와대 수석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죠?
[기자]
검찰의 다음 목표는 롯데와 SK 등 대기업 수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하게 돼 앞으로 박 전 대통령을 여러 차례 조사해 혐의를 캐물을 수 있게 됐는데요.
검찰은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SK와 롯데가 특혜를 바라고 미르와 K스포츠재단에 출연금을 낸 정황과 관련해서 관계자들을 추가로 불러 조사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는 강요에 따라 마지못해 돈을 낸 피해자로 분류됐지만, 이들 기업도 삼성처럼 뇌물죄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
앞서 검찰은 롯데그룹의 뇌물공여 의혹과 관련해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소환 일정이 아직 정해진 게 없다며 필요하면 조사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국정농단 사태를 묵인하거나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우병우 전 청와대 수석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검찰은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를 우 전 수석이 세월호 수사에 압력을 끼쳤다는 의혹과 공무원 인사에 부당 개입했다는 의혹 등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수사 역시 공식 선거운동 시작 전에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중앙지검에서 YTN 최두희[dh0226@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