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특별한 위령제'..."책임 등한시"

일본의 '특별한 위령제'..."책임 등한시"

2010.08.06. 오후 4:5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일본 열도에서는 요즘 원자폭탄으로 입은 피해를 알리는 다양한 행사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처음으로 원폭 투하국인 미국이 참석한 위령제도 열렸습니다.

하지만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가해자로서의 책임 문제는 여전히 등한시하고 있습니다.

도쿄 김상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원폭 희생자를 위한 위령제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원폭 투하국인 미국의 존 루스 주일 대사, 핵보유국인 영국과 프랑스 정부 대표 등이 처음으로 참석했습니다.

지금까지 미국 등은 '원폭 투하는 일본의 진주만 폭격으로 시작된 태평양 전쟁을 빨리 끝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며 참석을 거부해 왔지만 오바마 대통령이 '핵무기 없는 세계'를 주창함에 따라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

반기문 총장은 오는 2012년에 포괄적 핵실험을 금지하는 조약을 발효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인터뷰: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대량살상무기 없는 세계가 안전한 세계로 가는 유일한 길입니다."
(A world fre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at is the only safe path to a safer world.)

피폭지인 히로시마 시장은 일본 정부에 대해 미국의 핵우산에서 이탈하고,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는다는 등의 이른바 '비핵3원칙'을 법제화하라고 요구했고, 일본 총리는 이를 약속했습니다.

[인터뷰:간 나오토, 일본 총리]
"(일본은) 핵병기가 없는 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앞장 서서 행동하는 도의적 책임을 소유하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일본 열도에서는 8월이 되면 전쟁 발발과 전개 과정 등을 생략한 채 원폭의 참혹상을 강조하는 각종 전시회가 열리는 등 피해자의 입장을 집중 부각시키는 분위기가 고조됩니다.

일본의 침략 전쟁을 부인한 망언으로 널리 알려진 다모가미 도시오 전 항공막료장은 핵무장을 하지 않으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심지어 위령제가 열린 히로시마에서 일본의 핵무장을 요구하는 강연을 거듭 열었습니다.

65년 전 떨어진 두 발의 원자폭탄으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는 모두 16만여 명이 숨진 반면 일본이 일으킨 태평양전쟁 동안 아시아에서는 모두 2,000만 명 이상이 숨지거나 실종됐습니다.

당시 강제 징용자나 위안부 등의 피해 보상 문제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YTN 김상우[kimsang@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