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리비아 유혈 사태 악화로 국제 원유가격이 급등한데 이어 공급 부족사태가 닥칠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리비아가 원유의 주요 수출국인 상황에서 반정부 시위가 다른 산유국으로 확산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성호 선임기자입니다.
[리포트]
리비아 반정부 시위는 튀니지와 이집트, 그리고 바레인과는 또 다른 국제적 파장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벌써 큰 영향을 받고 있는 유가가 더욱 올라갈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리비아는 원유 매장량이 확인것만 해도 440억 배럴로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입니다.
시추를 위한 투자가 늘 경우 매장량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생산량은 하루 180만 배럴, 세계 17위로 국제시장에서 주요 변수임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업계에서는 반정부 시위가 생산 2위의 사우디 아라비아와 5위의 이란까지 확산되는 경우를 더 걱정하고 있습니다.
원유의 국제수급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출 능력입니다.
이집트는 원유가 운송되는 수에즈 운하를 끼고 있지만 수출국은 아니고 튀지니의 수출량은 미미합니다.
하지만 리비아의 경우 수출이 120만 배럴로 15위이며 사우디아라비아는 1위, 이란은 3위를 기록하고 있어 시위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 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사우디 당국은 원유재고가 충분하기 때문에 적절한 가격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사태가 더욱 심각해진다면 유가가 지난 2008년 7월에 세워진 배럴당 147.27 달러를 돌파할 수도 있다고 걱정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리비아로부터 수입되는 원유는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공급부족이 발생할 경우에는 적은 양이라도 가격이 크게 뛸 수 있는 게 원유시장의 특성입니다.
유가가 급등한다면 물가상승이 일어나고 이는 이미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은 신흥국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낮은 덕분에 초저금리에서 성장을 도모하고 있는 미국 등 선진국 경제에는 새로운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YTN 박성호[shpar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리비아 유혈 사태 악화로 국제 원유가격이 급등한데 이어 공급 부족사태가 닥칠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리비아가 원유의 주요 수출국인 상황에서 반정부 시위가 다른 산유국으로 확산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성호 선임기자입니다.
[리포트]
리비아 반정부 시위는 튀니지와 이집트, 그리고 바레인과는 또 다른 국제적 파장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벌써 큰 영향을 받고 있는 유가가 더욱 올라갈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리비아는 원유 매장량이 확인것만 해도 440억 배럴로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입니다.
시추를 위한 투자가 늘 경우 매장량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생산량은 하루 180만 배럴, 세계 17위로 국제시장에서 주요 변수임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업계에서는 반정부 시위가 생산 2위의 사우디 아라비아와 5위의 이란까지 확산되는 경우를 더 걱정하고 있습니다.
원유의 국제수급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출 능력입니다.
이집트는 원유가 운송되는 수에즈 운하를 끼고 있지만 수출국은 아니고 튀지니의 수출량은 미미합니다.
하지만 리비아의 경우 수출이 120만 배럴로 15위이며 사우디아라비아는 1위, 이란은 3위를 기록하고 있어 시위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 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사우디 당국은 원유재고가 충분하기 때문에 적절한 가격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사태가 더욱 심각해진다면 유가가 지난 2008년 7월에 세워진 배럴당 147.27 달러를 돌파할 수도 있다고 걱정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리비아로부터 수입되는 원유는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공급부족이 발생할 경우에는 적은 양이라도 가격이 크게 뛸 수 있는 게 원유시장의 특성입니다.
유가가 급등한다면 물가상승이 일어나고 이는 이미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은 신흥국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낮은 덕분에 초저금리에서 성장을 도모하고 있는 미국 등 선진국 경제에는 새로운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YTN 박성호[shpar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