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언제 시작됐고 그동안 어떻게 전개됐는지 연대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위안부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피해 증언이 있고 나서부터입니다.
230여 명이 넘는 피해자가 국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고 이후 일본에 대한 조속한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는 운동이 펼쳐집니다.
1992년 일본 정부는 조사 끝에 '일본 정부가 위안소 설치나 운영, 감독에 관여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듬해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발표합니다.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움직임도 잇따릅니다.
1996년 유엔 인권위원회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과 보상 촉구하는 보고서를 수용 결의합니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극우 계열 교과서 출판사가 교과서에서 위안부 기술을 삭제하는 등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려는 시도가 계속됩니다.
이에 미 하원은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죄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문까지 채택합니다.
이런 가운데 2011년 12월 14일,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수요집회가 천 번째를 맞이합니다.
이를 기념해 일본대사관 앞에는 위안부 평화비가 설치됩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사죄와 배상은커녕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며 고노담화 수정을 언급합니다.
지난해에는 일본의 집요한 방해 공작에도 불구하고 미국에도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집니다.
하지만 올해 아베 정권은 고노담화를 재검증하겠다며 결국 작업에 착수하면서 고노담화가 한일 간의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라는 엉터리 결과물을 내놓게 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언제 시작됐고 그동안 어떻게 전개됐는지 연대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위안부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피해 증언이 있고 나서부터입니다.
230여 명이 넘는 피해자가 국내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고 이후 일본에 대한 조속한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는 운동이 펼쳐집니다.
1992년 일본 정부는 조사 끝에 '일본 정부가 위안소 설치나 운영, 감독에 관여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듬해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발표합니다.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움직임도 잇따릅니다.
1996년 유엔 인권위원회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과 보상 촉구하는 보고서를 수용 결의합니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극우 계열 교과서 출판사가 교과서에서 위안부 기술을 삭제하는 등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려는 시도가 계속됩니다.
이에 미 하원은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죄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문까지 채택합니다.
이런 가운데 2011년 12월 14일,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수요집회가 천 번째를 맞이합니다.
이를 기념해 일본대사관 앞에는 위안부 평화비가 설치됩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사죄와 배상은커녕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며 고노담화 수정을 언급합니다.
지난해에는 일본의 집요한 방해 공작에도 불구하고 미국에도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집니다.
하지만 올해 아베 정권은 고노담화를 재검증하겠다며 결국 작업에 착수하면서 고노담화가 한일 간의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라는 엉터리 결과물을 내놓게 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