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러시아에서 개발된 1단과는 달리 나로호의 2단 로켓은 우리가 자체 개발한 고체 로켓입니다.
킥모터라고 불리는 이 로켓은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선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7년 9월.
나로우주센터 근처에 자리잡은 항공센터에서 2단 로켓인 킥모터의 연소실험이 이뤄집니다.
굉음과 함께 로켓에서 뿜어져 나오는 거대한 불기둥.
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키는데 필요한 초속 8km의 속도를 만들어냅니다.
[인터뷰:오승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
"300km 고도에서 위성을 궤도에 차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러시아에서 개발한 1단 로켓이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데 비해 킥모터는 고체 화약을 사용합니다.
시스템 연구와 설계는 항우연이, 고체 연료는 국내 산업체가 개발해 100% 한국 기술로 완성됐습니다.
지난 해 첫번째 발사때도 제 성능을 훌륭히 발휘했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고체 화약기술이 적용된 2단 킥모터가 이번 발사에서도 훌룽히 임무를 수행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YTN 이선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러시아에서 개발된 1단과는 달리 나로호의 2단 로켓은 우리가 자체 개발한 고체 로켓입니다.
킥모터라고 불리는 이 로켓은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선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7년 9월.
나로우주센터 근처에 자리잡은 항공센터에서 2단 로켓인 킥모터의 연소실험이 이뤄집니다.
굉음과 함께 로켓에서 뿜어져 나오는 거대한 불기둥.
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키는데 필요한 초속 8km의 속도를 만들어냅니다.
[인터뷰:오승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
"300km 고도에서 위성을 궤도에 차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러시아에서 개발한 1단 로켓이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데 비해 킥모터는 고체 화약을 사용합니다.
시스템 연구와 설계는 항우연이, 고체 연료는 국내 산업체가 개발해 100% 한국 기술로 완성됐습니다.
지난 해 첫번째 발사때도 제 성능을 훌륭히 발휘했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고체 화약기술이 적용된 2단 킥모터가 이번 발사에서도 훌룽히 임무를 수행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YTN 이선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