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기술 발전으로 인해 사람과 로봇이 일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시대가 곧 다가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가뜩이나 일자리 걱정이 많든 청년들이 미래 일자리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이혜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사람 만한 크기의 로봇이 일자리의 앞날에 대해 얘기합니다.
자연스러운 손짓과 움직임으로 토론자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로봇.
30년 후에는 현재 사람 일자리의 60~70%를 로봇이 대신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청년들은 이 같은 변화의 흐름이 이미 시작됐다는 점에 공감했습니다.
[이원형, 카이스트 박사과정]
"결국에는 기술과 함께 일자리가 변화할 것이기 때문에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들을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지 이해해야 하고 응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홍승희, 사회예술그룹 대표]
"기술 발전의 혜택을 어떻게 사회적으로 순환시키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 분배와 소득구조를 새롭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로봇이 대체할 사람의 일자리는 우선 서비스업 분야가 꼽혔습니다.
드론, 무인자동차의 등장으로 택배 배달원과 택시, 화물차 운전기사 등이 줄어들고 텔레마케터 등 상담직도 로봇이 대신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재권, 한양대학교 융합시스템학과 교수]
"중요한 것은 로봇으로 인해서 어떤 일자리가 더 생기느냐 이런 것도 우리가 봐야 할 부분이죠.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우리가 사회 시스템을 만들어 나갈 것이냐, 규칙과 제도는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이냐 이것에 의해서 우리의 삶이 바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이 개최한 청년토론회, '미래세대 열린광장 2045'는 대구, 대전 등에서 다양한 주제로 이어질 예정입니다.
YTN 사이언스 이혜리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기술 발전으로 인해 사람과 로봇이 일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시대가 곧 다가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가뜩이나 일자리 걱정이 많든 청년들이 미래 일자리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이혜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사람 만한 크기의 로봇이 일자리의 앞날에 대해 얘기합니다.
자연스러운 손짓과 움직임으로 토론자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로봇.
30년 후에는 현재 사람 일자리의 60~70%를 로봇이 대신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청년들은 이 같은 변화의 흐름이 이미 시작됐다는 점에 공감했습니다.
[이원형, 카이스트 박사과정]
"결국에는 기술과 함께 일자리가 변화할 것이기 때문에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들을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지 이해해야 하고 응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홍승희, 사회예술그룹 대표]
"기술 발전의 혜택을 어떻게 사회적으로 순환시키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 분배와 소득구조를 새롭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로봇이 대체할 사람의 일자리는 우선 서비스업 분야가 꼽혔습니다.
드론, 무인자동차의 등장으로 택배 배달원과 택시, 화물차 운전기사 등이 줄어들고 텔레마케터 등 상담직도 로봇이 대신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재권, 한양대학교 융합시스템학과 교수]
"중요한 것은 로봇으로 인해서 어떤 일자리가 더 생기느냐 이런 것도 우리가 봐야 할 부분이죠.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우리가 사회 시스템을 만들어 나갈 것이냐, 규칙과 제도는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이냐 이것에 의해서 우리의 삶이 바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이 개최한 청년토론회, '미래세대 열린광장 2045'는 대구, 대전 등에서 다양한 주제로 이어질 예정입니다.
YTN 사이언스 이혜리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