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잠시 숨고르기를 하고 있는 장마전선은 오늘 밤 다시 활성화되면서 많은 비를 뿌린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장맛비 상황과 전망 자세하게 분석해보겠습니다.
과학기상팀 김지현 기자 나왔습니다.
[질문]
어젯밤에는 모처럼 전국적으로 비가 잠잠했는데요, 지금 현재 서울은 비가 곧내릴 것처럼 흐린 상태고요, 다른 지방은 어떤가요?
[답변]
지금 현재상황입니다.
레이더로 잡은 오후 1시 상황인데 보시는 것처럼 드문드문 약간의 구름만 있을 뿐 대부분 흐리기만 한 상태입니다.
지금 비가 내리는 곳은 강화도쪽입니다.
지금 보시는 것처럼 비구름이 들어와 있는 상태죠.
이 지역에만 시간당 2~3mm 정도 내리고 있을 뿐 아직까지는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제 같은 시간입니다.
어제 1시 상황 기억하실 텐데 강원도 지역에 계속해서 어제 오후 내내 국지성 폭우가 지역을 옮겨다니면서 시간당 시간당 30~40mm 안팎의 강한 비를 오후 내내 쏟았습니다.
어제 강원도 호우특보가 오후 5시에 해제됐거든요.
하루동안에 내린 강우량만 평창에 250mm에 달하는 비가 내렸고 아시겠지만 경기 북부라든가 이쪽 영서지방에는 대부분 200mm 안팎의 비가 내렸습니다.
요즘 비가 내렸다 하면 하루에 200mm 거뜬하게 내립니다.
[질문]
정말 말그대로 물폭탄이 쏟아지는 듯한 그런 느낌인데 그러면 지금 현재 장마전선 어디에 있나요?
[답변]
지금 장마전선은 북한지방으로 올라가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쪽은 지금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장마전선은 북한지역으로 올라가 있는 대신 이렇게 밑에 보시는 것처럼 이게 북태평양 고기압이거든요.
장마전선이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북태평양 고기압이 수축하면 내려오고 확장하면 올라가고 이런 형태를 보입니다.
밤사이 장마전선이 북한지방으로 올라가면서 내륙은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였지만 대신 수많은 수증기가 유입되면서 기온이 떨어지지 않아서 어제 서울에도 올해 들어 첫 열대야가 나타났습니다.
아침기온이 25도를 웃돌았거든요.
오늘 아침 서울지방 최저기온이 26.1도로 지난해보다 일주일이나 빨리 열대야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질문]
또 후텁지근한 상황이 계속되는 군요?
[답변]
남부지방은 여전히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고요.
지금 아까 보신 일기도를 조금 더 축소해 봤는데 이게 보이는 게 북태평양 고기압이고 태풍이 일요일에 중국에서 소멸됐죠.
[질문]
7호 태풍 솔릭 말씀이시죠?
[답변]
그렇죠.
소멸됐지만 수많은 수증기가 계속해서 우리나라 북쪽으로 계속 유입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딱 보시기에도 수증기가 사선으로 분포돼 있는 거 보이시죠?
이 수증기가 장마전선에 계속해서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장마전선이 다시 서서히 내려오는 밤부터 수증기가 계속 들어오고 또 전선상에서 발달한 강한 비구름이 국지적으로 이어지면서 오늘 밤 사이로 다시 한 번 강한 비가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얼마나 더 오는 건가요?
[답변]
이미 닷새동안 500mm가 넘는 비가 내렸습니다.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에는 그러나 오늘 밤부터 내일 사이 단 시간에 많은 곳은 200mm 정도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 등 그밖의 중부지방에도 60~120mm 충청도에도 30~80mm 정도의 비가 내리고 남부지방은 요즘 계속 소나기입니다.
별다른 비는 없지만 낮동안 대기불안으로 인해서 가끔씩 소나기가 내리고 있습니다.
[질문]
그러니까 이게 지금까지 내린 비가 아니라 앞으로 더 올 양인 거죠?
[답변]
이미 500mm 가까운 비가 내린데다가 1년에 내릴 비의 3분의 1이 쏟아졌는데 거기에 더 얹어진다는 겁니다.
이미 지반이 마를 틈이 없었죠.
지표가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 포화량도 넘어섰기 때문에 비가 조금이라도 온다면 산사태나 각종 침수피해가 더 확대될 수 있는 그런 상황인 거죠.
[질문]
언제부터 비가 많이 오는 건가요?
[답변]
일단 오늘 낮동안은 소강상태를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오후 늦게 서울에도 한두 방울 비가 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일단 본격적인 비는 밤이 돼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6시부터 9시 사이에도 강한 비구름대는 북한 너머에 있는 상태고 9시 넘어서도 서서히 비가 내려오기 시작합니다.
이게 아까 보셨듯이 강한 수증기가 유입되는 현상이고 계속 전선상에서 발달한 비구름이 서서히 남하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정을 지나서 서울, 경기북부 지방부터 국지성 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보이고요.
자정 이후 역시 새벽 3시까지 보시는 것처럼 강한 비구름떼가 서울, 경기와 충남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경기 강원영서까지요.
그리고 3시부터 6시 사이에는 조금 더 비구름이 내려가면서 충남과 전북지역에 걸치게 됩니다.
이게 어제는 강원도에는 오후 내내 국지성 폭우가 머물면서 돌아다녔지만 이번 같은 경우는 전선형태로 들어오기 때문에 한번 훑고 지나가는 형태입니다.
1시간 안에 150mm, 100mm 이상의 비가 쏟아질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입니다.
[질문]
이번 장마가 특히 밤에 이렇게 비가 많이 쏟아지지 않습니까?
[답변]
내일 아침 상황을 봐서도 6시에서 9시 사이에도 역시 충청도와 전북지역에 걸리게 되고요.
대신 6시 이후로는 서울, 경기지방은 비구름 영향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남부지방은 계속 내일 아침까지 9시부터 오전 사이에는 계속 전라북도쪽에 비구름이 머물 것으로 보이니까 일단 최대 고비는 오늘 밤부터 내일 오전사이입니다.
[질문]
오늘 밤부터 내일 오전 사이요?
그러면 이 비가 언제까지 계속 올까요?
[답변]
안타깝게도 중부지방에 장마전선이 일다 다음 주 초까지 걸쳐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장마기간의 최대 고비는 오늘 밤부터 내일 오전이 될 것으로 보이고 목요일 오후에 잠깐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금요일 오전에 잠깐 갰다가 금요일 오후에 또 비가 내리고 토요일 오전에 괜찮다가 토요일 오후부터 일요일 다음주 월요일까지는 중부지방에 계속 산발적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이에요.
이번 비 만큼 후반에 내리는 비는 그렇게 강할 것 같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까지 조심해야 되고 지금 현재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이 많기 때문에 복구작업이나 대비를 하신다면 지금이 좋을 것 같네요.
알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잠시 숨고르기를 하고 있는 장마전선은 오늘 밤 다시 활성화되면서 많은 비를 뿌린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장맛비 상황과 전망 자세하게 분석해보겠습니다.
과학기상팀 김지현 기자 나왔습니다.
[질문]
어젯밤에는 모처럼 전국적으로 비가 잠잠했는데요, 지금 현재 서울은 비가 곧내릴 것처럼 흐린 상태고요, 다른 지방은 어떤가요?
[답변]
지금 현재상황입니다.
레이더로 잡은 오후 1시 상황인데 보시는 것처럼 드문드문 약간의 구름만 있을 뿐 대부분 흐리기만 한 상태입니다.
지금 비가 내리는 곳은 강화도쪽입니다.
지금 보시는 것처럼 비구름이 들어와 있는 상태죠.
이 지역에만 시간당 2~3mm 정도 내리고 있을 뿐 아직까지는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제 같은 시간입니다.
어제 1시 상황 기억하실 텐데 강원도 지역에 계속해서 어제 오후 내내 국지성 폭우가 지역을 옮겨다니면서 시간당 시간당 30~40mm 안팎의 강한 비를 오후 내내 쏟았습니다.
어제 강원도 호우특보가 오후 5시에 해제됐거든요.
하루동안에 내린 강우량만 평창에 250mm에 달하는 비가 내렸고 아시겠지만 경기 북부라든가 이쪽 영서지방에는 대부분 200mm 안팎의 비가 내렸습니다.
요즘 비가 내렸다 하면 하루에 200mm 거뜬하게 내립니다.
[질문]
정말 말그대로 물폭탄이 쏟아지는 듯한 그런 느낌인데 그러면 지금 현재 장마전선 어디에 있나요?
[답변]
지금 장마전선은 북한지방으로 올라가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쪽은 지금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장마전선은 북한지역으로 올라가 있는 대신 이렇게 밑에 보시는 것처럼 이게 북태평양 고기압이거든요.
장마전선이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북태평양 고기압이 수축하면 내려오고 확장하면 올라가고 이런 형태를 보입니다.
밤사이 장마전선이 북한지방으로 올라가면서 내륙은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였지만 대신 수많은 수증기가 유입되면서 기온이 떨어지지 않아서 어제 서울에도 올해 들어 첫 열대야가 나타났습니다.
아침기온이 25도를 웃돌았거든요.
오늘 아침 서울지방 최저기온이 26.1도로 지난해보다 일주일이나 빨리 열대야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질문]
또 후텁지근한 상황이 계속되는 군요?
[답변]
남부지방은 여전히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고요.
지금 아까 보신 일기도를 조금 더 축소해 봤는데 이게 보이는 게 북태평양 고기압이고 태풍이 일요일에 중국에서 소멸됐죠.
[질문]
7호 태풍 솔릭 말씀이시죠?
[답변]
그렇죠.
소멸됐지만 수많은 수증기가 계속해서 우리나라 북쪽으로 계속 유입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딱 보시기에도 수증기가 사선으로 분포돼 있는 거 보이시죠?
이 수증기가 장마전선에 계속해서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장마전선이 다시 서서히 내려오는 밤부터 수증기가 계속 들어오고 또 전선상에서 발달한 강한 비구름이 국지적으로 이어지면서 오늘 밤 사이로 다시 한 번 강한 비가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얼마나 더 오는 건가요?
[답변]
이미 닷새동안 500mm가 넘는 비가 내렸습니다.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에는 그러나 오늘 밤부터 내일 사이 단 시간에 많은 곳은 200mm 정도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 등 그밖의 중부지방에도 60~120mm 충청도에도 30~80mm 정도의 비가 내리고 남부지방은 요즘 계속 소나기입니다.
별다른 비는 없지만 낮동안 대기불안으로 인해서 가끔씩 소나기가 내리고 있습니다.
[질문]
그러니까 이게 지금까지 내린 비가 아니라 앞으로 더 올 양인 거죠?
[답변]
이미 500mm 가까운 비가 내린데다가 1년에 내릴 비의 3분의 1이 쏟아졌는데 거기에 더 얹어진다는 겁니다.
이미 지반이 마를 틈이 없었죠.
지표가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 포화량도 넘어섰기 때문에 비가 조금이라도 온다면 산사태나 각종 침수피해가 더 확대될 수 있는 그런 상황인 거죠.
[질문]
언제부터 비가 많이 오는 건가요?
[답변]
일단 오늘 낮동안은 소강상태를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오후 늦게 서울에도 한두 방울 비가 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일단 본격적인 비는 밤이 돼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6시부터 9시 사이에도 강한 비구름대는 북한 너머에 있는 상태고 9시 넘어서도 서서히 비가 내려오기 시작합니다.
이게 아까 보셨듯이 강한 수증기가 유입되는 현상이고 계속 전선상에서 발달한 비구름이 서서히 남하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정을 지나서 서울, 경기북부 지방부터 국지성 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보이고요.
자정 이후 역시 새벽 3시까지 보시는 것처럼 강한 비구름떼가 서울, 경기와 충남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경기 강원영서까지요.
그리고 3시부터 6시 사이에는 조금 더 비구름이 내려가면서 충남과 전북지역에 걸치게 됩니다.
이게 어제는 강원도에는 오후 내내 국지성 폭우가 머물면서 돌아다녔지만 이번 같은 경우는 전선형태로 들어오기 때문에 한번 훑고 지나가는 형태입니다.
1시간 안에 150mm, 100mm 이상의 비가 쏟아질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입니다.
[질문]
이번 장마가 특히 밤에 이렇게 비가 많이 쏟아지지 않습니까?
[답변]
내일 아침 상황을 봐서도 6시에서 9시 사이에도 역시 충청도와 전북지역에 걸리게 되고요.
대신 6시 이후로는 서울, 경기지방은 비구름 영향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남부지방은 계속 내일 아침까지 9시부터 오전 사이에는 계속 전라북도쪽에 비구름이 머물 것으로 보이니까 일단 최대 고비는 오늘 밤부터 내일 오전사이입니다.
[질문]
오늘 밤부터 내일 오전 사이요?
그러면 이 비가 언제까지 계속 올까요?
[답변]
안타깝게도 중부지방에 장마전선이 일다 다음 주 초까지 걸쳐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장마기간의 최대 고비는 오늘 밤부터 내일 오전이 될 것으로 보이고 목요일 오후에 잠깐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금요일 오전에 잠깐 갰다가 금요일 오후에 또 비가 내리고 토요일 오전에 괜찮다가 토요일 오후부터 일요일 다음주 월요일까지는 중부지방에 계속 산발적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이에요.
이번 비 만큼 후반에 내리는 비는 그렇게 강할 것 같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까지 조심해야 되고 지금 현재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이 많기 때문에 복구작업이나 대비를 하신다면 지금이 좋을 것 같네요.
알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