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내 연구진이 세계에서 가장 얇으면서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초박막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습니다.
서울대 이탁희 교수 연구팀은 휘어지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10억분의 1미터, 즉 1나노미터의 분자막을 까는 기술로 기존 유기전자 소자 두께의 100분의 1에 불과한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 소자는 지름 2mm인 이쑤시개에 휘감을 수 있을 만큼 자유자재로 휘어지는데다, 1000회 가량 반복 휘어짐 실험에서는 85% 이상 기능도 유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실용화 연구가 성공하면 손목에 차는 휴대전화나 입는 컴퓨터 등 영화 속에만 등장하던 다양한 휴대 전자기기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박성준 광주과기원 신소재공학과 박사는 "이번에 발표한 연구에서는 분자를 소자의 한 층으로 깔아서 기존의 유기(분자소자)의 두께보다 100분의 1로 낮췄다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탁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유기전자 소자를 플라스틱 기판으로 만들면 이렇게 휘어지면서 가장 얇은 유기전자 소자를 만들었고 특히 세계 최초로 분자전자 소자를 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었다는데 큰 연구 의의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실렸습니다.
지금 동영상 보기를 클릭하시면 관련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대 이탁희 교수 연구팀은 휘어지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10억분의 1미터, 즉 1나노미터의 분자막을 까는 기술로 기존 유기전자 소자 두께의 100분의 1에 불과한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 소자는 지름 2mm인 이쑤시개에 휘감을 수 있을 만큼 자유자재로 휘어지는데다, 1000회 가량 반복 휘어짐 실험에서는 85% 이상 기능도 유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실용화 연구가 성공하면 손목에 차는 휴대전화나 입는 컴퓨터 등 영화 속에만 등장하던 다양한 휴대 전자기기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박성준 광주과기원 신소재공학과 박사는 "이번에 발표한 연구에서는 분자를 소자의 한 층으로 깔아서 기존의 유기(분자소자)의 두께보다 100분의 1로 낮췄다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탁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유기전자 소자를 플라스틱 기판으로 만들면 이렇게 휘어지면서 가장 얇은 유기전자 소자를 만들었고 특히 세계 최초로 분자전자 소자를 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었다는데 큰 연구 의의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실렸습니다.
지금 동영상 보기를 클릭하시면 관련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