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아파트값 상승률 1위…송파구 4.28%
강남·서초구 3.52% 상승…1~3위 모두 강남 3구
조기 대선까지 정책 방향 불확실…양극화 심화할 듯
경기도 과천시 3.41% 오르며 전국 상승률 4위 기록
강남·서초구 3.52% 상승…1~3위 모두 강남 3구
조기 대선까지 정책 방향 불확실…양극화 심화할 듯
경기도 과천시 3.41% 오르며 전국 상승률 4위 기록
AD
[앵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반짝 해제 영향으로 올해 1분기 강남 3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같은 기간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입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1분기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서울 송파구로 4.28% 정도 올랐습니다.
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3.52% 오르며 상승률 상위권은 모두 강남 3구 차지였습니다.
지난 2월 13일 서울시가 강남 일부 지역 토허제를 해제한 뒤 지난달 24일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하기까지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영향입니다.
강남 3구와 달리 노원, 도봉, 강북 등 서울 일부 외곽 지역은 1분기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도 커졌습니다.
오는 6월 조기 대선 전까지 부동산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만큼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효선 /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조기 대선 이후) 정책적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거기에 따른 다른 방향성이 나타날 순 있겠지만 별다른 정책적 상황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같은 초양극화 현상이 더 확대될 것 같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강남권과 맞닿은 과천시가 3.41% 오르며 전국 시군구 상승률 4위를 기록했습니다.
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 등으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번 달에만 약 2조5천억 원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만 1조5천억 원 넘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오는 7월 대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대출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 : 오훤슬기
디자인 : 이가은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반짝 해제 영향으로 올해 1분기 강남 3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같은 기간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입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1분기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서울 송파구로 4.28% 정도 올랐습니다.
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3.52% 오르며 상승률 상위권은 모두 강남 3구 차지였습니다.
지난 2월 13일 서울시가 강남 일부 지역 토허제를 해제한 뒤 지난달 24일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하기까지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영향입니다.
강남 3구와 달리 노원, 도봉, 강북 등 서울 일부 외곽 지역은 1분기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도 커졌습니다.
오는 6월 조기 대선 전까지 부동산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만큼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효선 /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조기 대선 이후) 정책적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거기에 따른 다른 방향성이 나타날 순 있겠지만 별다른 정책적 상황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같은 초양극화 현상이 더 확대될 것 같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강남권과 맞닿은 과천시가 3.41% 오르며 전국 시군구 상승률 4위를 기록했습니다.
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 등으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번 달에만 약 2조5천억 원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만 1조5천억 원 넘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오는 7월 대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대출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 : 오훤슬기
디자인 : 이가은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