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보조배터리를 배터리 보관용 비닐봉지에 넣고 있다 ⓒ 연합뉴스
AD
국토교통부가 항공기 내 보조배터리 화재 예방 대책으로 내놓은 '비닐봉지 사용 지침'이 실효성 논란과 함께 현장 혼란을 키우고 있다. 항공·보안 업계는 "보여주기식 행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5월 연휴 기간 여객 대란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20일 항공 업계와 뉴스1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 10일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에 공문을 보내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를 보안 검색 시 꺼내 바구니에 담도록 안내하고, 필요시 비닐봉지를 제공하라고 지시했다. 기존에는 항공사가 봉지를 제공했으나, 보안 검색 요원에게 비닐봉지 제공 책임이 확대됐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해당 조치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승객들이 검색대를 지난 뒤 면세구역 등에서 비닐봉지를 버리는 경우가 많고, 리튬이온 배터리는 대부분 외부 단락 방지 구조를 갖추고 있어 추가 포장이 필요하지 않다.
배터리 비닐봉지 사용은 지난 1월 '에어부산 사고' 이후 기내 화재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정부가 권고한 것으로, 당시 사고는 배터리 내부 합선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혀졌다.
또 비닐봉지는 배터리 단자에 이물질이 끼어 발생하는 외부 합선은 막을 수 있지만, 내부 합선은 차단하지 못한다. 게다가 최근에 출시되는 배터리는 대개 외부 합선을 차단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비닐봉지에 담을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검색대 지연 등 현실적인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지난 9일 김포공항에서 실시된 '비닐봉지 사용' 시범 운영에선 검색 시간이 평소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5월 황금연휴 기간 혼잡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공항 보안 검색 노동조합도 "본연의 위해물품 탐지 업무가 위협받고 있다"며 지침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결국 이번 조치는 실질적인 화재 예방보다는 행정 조치에 가까워, 오히려 현장 혼란과 불필요한 비용 증가만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인천공항 국제선 연간 이용객 중 약 30~40%가 보조배터리를 소지하는 점을 감안하면, 비닐봉지 비용만 연간 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일 항공 업계와 뉴스1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 10일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에 공문을 보내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를 보안 검색 시 꺼내 바구니에 담도록 안내하고, 필요시 비닐봉지를 제공하라고 지시했다. 기존에는 항공사가 봉지를 제공했으나, 보안 검색 요원에게 비닐봉지 제공 책임이 확대됐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해당 조치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승객들이 검색대를 지난 뒤 면세구역 등에서 비닐봉지를 버리는 경우가 많고, 리튬이온 배터리는 대부분 외부 단락 방지 구조를 갖추고 있어 추가 포장이 필요하지 않다.
배터리 비닐봉지 사용은 지난 1월 '에어부산 사고' 이후 기내 화재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정부가 권고한 것으로, 당시 사고는 배터리 내부 합선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혀졌다.
또 비닐봉지는 배터리 단자에 이물질이 끼어 발생하는 외부 합선은 막을 수 있지만, 내부 합선은 차단하지 못한다. 게다가 최근에 출시되는 배터리는 대개 외부 합선을 차단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비닐봉지에 담을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검색대 지연 등 현실적인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지난 9일 김포공항에서 실시된 '비닐봉지 사용' 시범 운영에선 검색 시간이 평소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5월 황금연휴 기간 혼잡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공항 보안 검색 노동조합도 "본연의 위해물품 탐지 업무가 위협받고 있다"며 지침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결국 이번 조치는 실질적인 화재 예방보다는 행정 조치에 가까워, 오히려 현장 혼란과 불필요한 비용 증가만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인천공항 국제선 연간 이용객 중 약 30~40%가 보조배터리를 소지하는 점을 감안하면, 비닐봉지 비용만 연간 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