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도쿄 전경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AD
일본 도쿄의 주요 고급 호텔 15곳이 숙박 요금과 관련된 중요 정보를 공유하며 담합을 시도한 의혹이 제기됐다.
아사히신문은 유명 호텔들이 매달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객실 가동률, 평균 숙박 요금, 향후 요금 책정 방침 등의 정보를 교환해 왔다고 17일 보도했다. 해당 업체는 제국 호텔, 호텔 뉴오타니, 오쿠라 도쿄, 하얏트 리젠시 도쿄 등 15곳이다.
이 회의는 수십 년간 지속되어 온 관행으로 보이며, 일부 호텔들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숙박 요금을 인상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공정위는 특히 각 호텔이 다른 호텔의 객실 가동률과 요금을 비교해 요금을 결정한 사례가 있었다고 보고, 이는 독점금지법 위반이자 담합(카르텔)에 해당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공정위는 각 호텔에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경고를 전달했으며, 의견을 수렴한 후 최종적으로 경고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어 "고급 호텔뿐만 아니라 비즈니스호텔과 도쿄 외 지역의 호텔에서도 정보 공유가 광범위하게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차단하기 위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업 신용조사 업체인 도쿄상공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비즈니스호텔 등 11개 업체의 평균 객실 단가는 1만 5,537엔(약 15만 5,000원)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1년의 8,320엔(약 8만 3,000원)보다 86.7% 상승했다.
현재 15개 호텔은 정보 교환 모임을 중단했으며, 제국 호텔은 "정보 교환이 담합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아사히신문은 유명 호텔들이 매달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객실 가동률, 평균 숙박 요금, 향후 요금 책정 방침 등의 정보를 교환해 왔다고 17일 보도했다. 해당 업체는 제국 호텔, 호텔 뉴오타니, 오쿠라 도쿄, 하얏트 리젠시 도쿄 등 15곳이다.
이 회의는 수십 년간 지속되어 온 관행으로 보이며, 일부 호텔들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숙박 요금을 인상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공정위는 특히 각 호텔이 다른 호텔의 객실 가동률과 요금을 비교해 요금을 결정한 사례가 있었다고 보고, 이는 독점금지법 위반이자 담합(카르텔)에 해당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공정위는 각 호텔에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경고를 전달했으며, 의견을 수렴한 후 최종적으로 경고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어 "고급 호텔뿐만 아니라 비즈니스호텔과 도쿄 외 지역의 호텔에서도 정보 공유가 광범위하게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차단하기 위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업 신용조사 업체인 도쿄상공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비즈니스호텔 등 11개 업체의 평균 객실 단가는 1만 5,537엔(약 15만 5,000원)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1년의 8,320엔(약 8만 3,000원)보다 86.7% 상승했다.
현재 15개 호텔은 정보 교환 모임을 중단했으며, 제국 호텔은 "정보 교환이 담합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