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역사 교과서 개정 요구 논란

국방부, 역사 교과서 개정 요구 논란

2008.09.18. 오후 7:4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국방부가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내용을 대폭 수정할 것을 교육과학기술부에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5공화국을 미화한다는 등의 논란이 일자 국방부는 실무자들이 신중하지 못했다며 요구 사항을 수정하기도 했습니다.

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방부가 교과서 수정을 요구한 25개항에는 5공화국에 대한 평가와 제주 4.3 사건에 대한 기술 등이 포함됐습니다.

전두환 정권이 권력을 동원해 강압정치를 했다는 내용 대신 친북 좌파의 활동을 차단하는 조치들을 취했다고 쓰도록 요구했습니다.

제주 4.3 사건은 '남로당이 지시한 좌익 반란사건'이라고 규정했습니다.

현행 교과서에는 3·1절 발포가 4.3 사건 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기술돼 있습니다.

이승만 정권이 '분단 상황을 이용해 독재를 유지했다'는 부분은'공산주의 확산을 막고 자유민주주의를 확립했다'고 바꾸기를 요구했습니다.

또 박정희 정권과 관련해서는 '헌법 위에 존재한 대통령'을 '민족 근대화에 기여한 대통령'으로 수정하도록 했습니다.

2003년 말 정부가 확정 발표한 4.3 사건의 진상을 부정하고 5공화국을 미화했다는 논란이 일자 국방부가 해명에 나섰습니다.

[녹취:원태재, 국방부 대변인]
"구체적 내용이 조금 많다보니까 어떤 기술적인 문제인데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는 실무자 개인의 어떤 걸러지지 않은 견해가 전달된 것은 사실입니다."

국방부는 신중하지 못한 표현을 바로잡겠다며 두 가지 예를 들었습니다.

5공화국에 대한 평가는 수정안 자체를 철회하고 4.3 사건은 '반란'에서 '무장폭동'으로 수정하기로 했습니다.

국장급 회의를 거쳐 장관 보고를 마친 사안이지만 국방부는 검토의견을 종합한 부서에서 어떤 실무적인 문제가 있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YTN 김태현[kimt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