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요즘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논란이 뜨겁죠.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오늘 단독 회동에서 정당공천제 폐지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는데요.
정당공천제란 말 그대로 정당이 공직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입니다.
정당공천제 유무에 따라 선거 포스터도 달라집니다. 공천제를 적용할 경우 후보 포스터에 이름과 당 명칭이 함께 표시되고요.
공천제가 폐지되면 이렇게 소속 정당 없이 인물 사진과 이름만 나열됩니다.
이번 6.4 지방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을 포함해 모두 3,909명의 지역일꾼을 뽑게 됩니다.
현재 3,909명 모두 정당공천이 이뤄지는데요.
정당공천을 폐지할 것인지 논란이 뜨거운 대상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입니다.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수를 합치면 3천 명이 넘는데요.
기초의원 공천제는 지난 20년간 계속해서 논란이 됐습니다.
동시 지방선거는 1995년 처음 치러졌지만 당시 여당 반대로 기초의원 공천은 이뤄지지 않았고, 2003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법률 심사까지 거쳐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처음으로 도입됐습니다.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 한 번 기초의원 공천제의 존폐 논란이 뜨겁습니다.
유지하자는 새누리당과 폐지하는데 협력하겠다는 야권의 셈법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가운데 어떤 결론이 날지 주목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요즘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논란이 뜨겁죠.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오늘 단독 회동에서 정당공천제 폐지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는데요.
정당공천제란 말 그대로 정당이 공직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입니다.
정당공천제 유무에 따라 선거 포스터도 달라집니다. 공천제를 적용할 경우 후보 포스터에 이름과 당 명칭이 함께 표시되고요.
공천제가 폐지되면 이렇게 소속 정당 없이 인물 사진과 이름만 나열됩니다.
이번 6.4 지방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을 포함해 모두 3,909명의 지역일꾼을 뽑게 됩니다.
현재 3,909명 모두 정당공천이 이뤄지는데요.
정당공천을 폐지할 것인지 논란이 뜨거운 대상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입니다.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수를 합치면 3천 명이 넘는데요.
기초의원 공천제는 지난 20년간 계속해서 논란이 됐습니다.
동시 지방선거는 1995년 처음 치러졌지만 당시 여당 반대로 기초의원 공천은 이뤄지지 않았고, 2003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법률 심사까지 거쳐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처음으로 도입됐습니다.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 한 번 기초의원 공천제의 존폐 논란이 뜨겁습니다.
유지하자는 새누리당과 폐지하는데 협력하겠다는 야권의 셈법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가운데 어떤 결론이 날지 주목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