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이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어젯밤에 개인 담화를 냈습니다.
우리 정부를 폄하하는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이틀 전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발사에 대해 우리 정부가 유감을 표명한 것을 문제 삼았습니다.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 연결합니다. 왕선택 기자!
김여정 제1부부장이 대남 메시지 발신에 나선 것이 처음인데, 그것 자체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봐야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으로 북한에서 최측근 이상의 위상과 역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발신한 메시지 가운데 최상급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건의한 인물이 되겠고 북한에서 남북 대화를 옹호하고 또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서 우호적인 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과 남측 정부에 대한 김정은 위원장의 불만과 실망감을 최고 수준에서 표출하는 차원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또 김여정 제1부부장의 위상과 역할 변화도 관심사가 되겠습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그동안 국가운영과 관련해서 일을 배우는 자세를 보였는데 이제는 보조적인 위상을 넘어서서 최상급 책임자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도 주목 대상이 되겠습니다.
[앵커]
북한이 김여정 제1부부장까지 동원하면서 청와대에 극단적인 조롱을 표현을 사용한 이유 뭐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북한은 지난해 2월 말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에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서 소통 방식이나 공감 능력 등에 대한 불만을 자주 표명한 바가 있습니다.
이번 담화도 문 대통령에 대한 불만 표출로 충격요법을 사용하면서 북한과의 소통 방식을 변경할 것을 촉구하거나 압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문 대통령에 대한 불만 표출 외에도 북한은 통상적인 군사 활동에 대해서 남측이 도발로 규정하고 문제 삼는 것을 중단할 것을 압박하는 의미도 있다고 봐야 되겠습니다.
동시에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해서 대화의 여지가 있다는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의미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그러면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해서 여지가 있다고 분석하는 근거는 뭔가요?
[기자]
담화 내용을 보면 야멸찬 조롱 또 비방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그렇지만 문 대통령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은 아니라면서 수위를 조절한 것에 대해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요.
또 이 담화가 조선중앙통신에만 실렸고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았습니다.
북한 주민에게 전달되지 않는 조선중앙통신에만 담화가 실린 것인데 이것은 대내외적인 환경을 조절한 방향 조절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담화를 내면서 수위와 방향을 조절하는 것은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해서 상황 반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그런 조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 담화 표현은 거칠지만 그 주제는 3월 2일 방사포 발사와 관련해서 자위적 훈련으로 남측 비난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점을 해명하고 문제 삼지 말라는 것을 촉구하는 그런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담화 중에는 비논리적인 언동은 남측 전체에 대한 불신과 증오, 경멸만을 증폭할 뿐이다라고 강조한 부분이 대표적인 부분이 되겠습니다. 이 부분을 확대 해석하면 남과 북이 서로 통상적인 군사 활동은 문제 삼지 말아야 한다는 제안의 의미가 있고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군사 활동 내용을 협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는 그런 부분이 되겠습니다.
우리 정부도 대북 메시지 수위와 방향을 조절하고 상황 반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YTN 왕선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이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어젯밤에 개인 담화를 냈습니다.
우리 정부를 폄하하는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이틀 전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발사에 대해 우리 정부가 유감을 표명한 것을 문제 삼았습니다.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 연결합니다. 왕선택 기자!
김여정 제1부부장이 대남 메시지 발신에 나선 것이 처음인데, 그것 자체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봐야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으로 북한에서 최측근 이상의 위상과 역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발신한 메시지 가운데 최상급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건의한 인물이 되겠고 북한에서 남북 대화를 옹호하고 또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서 우호적인 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과 남측 정부에 대한 김정은 위원장의 불만과 실망감을 최고 수준에서 표출하는 차원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또 김여정 제1부부장의 위상과 역할 변화도 관심사가 되겠습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그동안 국가운영과 관련해서 일을 배우는 자세를 보였는데 이제는 보조적인 위상을 넘어서서 최상급 책임자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도 주목 대상이 되겠습니다.
[앵커]
북한이 김여정 제1부부장까지 동원하면서 청와대에 극단적인 조롱을 표현을 사용한 이유 뭐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북한은 지난해 2월 말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에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서 소통 방식이나 공감 능력 등에 대한 불만을 자주 표명한 바가 있습니다.
이번 담화도 문 대통령에 대한 불만 표출로 충격요법을 사용하면서 북한과의 소통 방식을 변경할 것을 촉구하거나 압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문 대통령에 대한 불만 표출 외에도 북한은 통상적인 군사 활동에 대해서 남측이 도발로 규정하고 문제 삼는 것을 중단할 것을 압박하는 의미도 있다고 봐야 되겠습니다.
동시에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해서 대화의 여지가 있다는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의미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그러면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해서 여지가 있다고 분석하는 근거는 뭔가요?
[기자]
담화 내용을 보면 야멸찬 조롱 또 비방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그렇지만 문 대통령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은 아니라면서 수위를 조절한 것에 대해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요.
또 이 담화가 조선중앙통신에만 실렸고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았습니다.
북한 주민에게 전달되지 않는 조선중앙통신에만 담화가 실린 것인데 이것은 대내외적인 환경을 조절한 방향 조절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담화를 내면서 수위와 방향을 조절하는 것은 남북 관계 개선과 관련해서 상황 반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그런 조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 담화 표현은 거칠지만 그 주제는 3월 2일 방사포 발사와 관련해서 자위적 훈련으로 남측 비난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점을 해명하고 문제 삼지 말라는 것을 촉구하는 그런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담화 중에는 비논리적인 언동은 남측 전체에 대한 불신과 증오, 경멸만을 증폭할 뿐이다라고 강조한 부분이 대표적인 부분이 되겠습니다. 이 부분을 확대 해석하면 남과 북이 서로 통상적인 군사 활동은 문제 삼지 말아야 한다는 제안의 의미가 있고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군사 활동 내용을 협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는 그런 부분이 되겠습니다.
우리 정부도 대북 메시지 수위와 방향을 조절하고 상황 반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YTN 왕선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