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번호 여론조사 조작 논란' 수사 착수...응답률 50% 넘는 이상 징후

'안심번호 여론조사 조작 논란' 수사 착수...응답률 50% 넘는 이상 징후

2022.04.14. 오후 4:5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시작된 안심번호 여론조사 조작 논란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론조사 응답률이 50%를 넘는 등 이상 징후도 포착됐습니다.

경찰은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신속하고 철저하게 수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김민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라북도의회에서 열린 지방선거 예비후보들의 기자회견.

안심번호 여론조작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완주와 임실, 장수의 민주당 소속 단체장 후보들입니다.

이들은 구체적인 조작 관련 제보를 받고 있다며 선거관리위원회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한병락 / 더불어민주당 전북 임실군수 예비후보 : 핸드폰을 악용한 여론조작이 사실일 경우 이는 민주주의 근간과 존립 자체를 흔드는….]

이동통신사가 여론조사에 사용할 안심번호를 추출할 때 구조적인 허점이 있다는 주장입니다.

실제 거주지가 아닌 요금 청구지를 기준으로 안심번호를 추출하기 때문에 특정 지역으로 요금 청구지만 옮겨 놓으면 아무나 여론조사에 참여해 여론 조작도 가능하다는 이야깁니다.

예비후보들은 더불어민주당에 경선 방식을 바꿔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돈승 / 더불어민주당 전북 완주군수 예비후보 : 지방선거가 참담한 결과를 낳지 않기를 간곡히 더불어민주당에도….]

이런 가운데 이들 후보가 출마한 곳의 여론조사에서 의심스러운 정황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지역 언론사 4곳이 여론 조사기관에 의뢰해 안심번호 100%로 실시한 장수군 여론조사입니다.

응답률이 54.3%, 2명 중 1명 이상이 여론조사에 응한 셈입니다.

앞서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 또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장수군의 응답률은 41.8%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보기 드문 현상이라고 지적합니다.

[배종찬 /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 : 안심번호를 사용하더라도 50% 이상의 응답률이 나온 것은 정상적이거나 일반적인 것은 아닐 수도 있어서 어떤 사유인지 (파악해야)]

[배철호 /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 : 군 단위처럼 인구수가 적은 지역에서는 그 효과도 클 것이기에 집중적인 요금 청구지 이전이 의심된다면 모니터링 대상으로 두고….]

경찰은 관련자를 불러 조사하고 자료를 확보하는 등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신속하게 관련 의혹을 규명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안심번호 여론조사의 맹점을 선거가 코앞인 지금도 누군가 악용할 수 있다는 게 가장 심각한 문제입니다.

사건의 진상 규명이 시급한 가운데 경찰이 어떤 결과물을 언제쯤 내놓을지 지역 정가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YTN 김민성입니다.



YTN 김민성 (kimms070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