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다음 달 ’마린온 무장형’ 개발 계약 체결
공격헬기 국내 개발 VS 해외 수입 논란 재점화
국내 개발 경제 효과 VS 전력 강화·생존력 제고
공격헬기 국내 개발 VS 해외 수입 논란 재점화
국내 개발 경제 효과 VS 전력 강화·생존력 제고
AD
[앵커]
정부가 이르면 다음 달 국내 방산업체와 해병대 상륙 공격헬기의 체계 개발 계약을 맺을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상륙 공격헬기 도입이 확정된 지 8년 만인데, 국내개발을 강행할 경우 전력 약화와 헬기 배치 지연 등을 놓고 논란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준명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기관포와 대전차포 등으로 무장한 공격헬기.
상륙 작전 시 상륙 지역의 위협을 제거해 병력의 생존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무기 체계로 지난 2014년 우리 해병대 도입이 확정됐습니다.
방위사업청은 이르면 다음 달 국산 상륙 기동헬기 마린온에 무장과 장갑을 탑재해 '마린온 무장형'을 개발하는 계약을 맺을 방침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방사청 관계자는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공격헬기 도입 사업을 협상하고 있다며 다음 달 체계 개발 계약을 목표로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번 계약이 체결되면 국내 개발과 해외 수입을 놓고 벌어졌던 논란이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입니다.
병력 수송이 주목적인 마린온의 경우, 해외의 공격전용 헬기 바이퍼나 아파치와는 달리 조종석이 좌우로 배치돼 넓적한 모양이라 적의 공격에 취약하고
수직 상승속도와 무장탑재력 등이 현저히 떨어져 공격헬기로 개량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논란의 핵심이었습니다.
앞서 이승도 전 해병대 사령관 등도 공격헬기다운 헬기가 필요하다며 마린온 무장형 도입을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이승도 / 前 해병대사령관 (지난 2020년 10월) : (국산)마린온 (기동)헬기에다가 무장을 장착한 헬기가 아닌 공격 헬기로서 운용되는 그런 헬기를 해병대에서 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개발사 KAI는 마린온 조종석에 방탄판을 적용하고 동력 계통을 국산화해 수직 상승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반박합니다.
여기에 정부는 국내 개발에 따른 고용 창출과 수출 등 경제적 효과도 기대하고 있지만 해병대의 전력 강화와 장병의 생존력 제고를 우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전히 만만치 않습니다.
[김영수 / 국방권익연구소장, 예비역 해군 소령 : 국가 안보를 위한 판단이 무엇이냐. 그것을 했을 때 추가적으로 정책적 판단이 들어가는 것이지 정책적 판단이 우선한다고 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 겁니다.]
3차례 연구 끝에 국내 개발 방식으로 방침이 정해졌지만 그 뒤 미 해병대의 주력 공격헬기 바이퍼를 생산하는 미국 벨(Bell)사가 기술이전 현지생산 방식에도 적극적인 입장이어서 새로운 선택지도 고려해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YTN 신준명입니다.
YTN 신준명 (shinjm75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가 이르면 다음 달 국내 방산업체와 해병대 상륙 공격헬기의 체계 개발 계약을 맺을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상륙 공격헬기 도입이 확정된 지 8년 만인데, 국내개발을 강행할 경우 전력 약화와 헬기 배치 지연 등을 놓고 논란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준명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기관포와 대전차포 등으로 무장한 공격헬기.
상륙 작전 시 상륙 지역의 위협을 제거해 병력의 생존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무기 체계로 지난 2014년 우리 해병대 도입이 확정됐습니다.
방위사업청은 이르면 다음 달 국산 상륙 기동헬기 마린온에 무장과 장갑을 탑재해 '마린온 무장형'을 개발하는 계약을 맺을 방침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방사청 관계자는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공격헬기 도입 사업을 협상하고 있다며 다음 달 체계 개발 계약을 목표로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번 계약이 체결되면 국내 개발과 해외 수입을 놓고 벌어졌던 논란이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입니다.
병력 수송이 주목적인 마린온의 경우, 해외의 공격전용 헬기 바이퍼나 아파치와는 달리 조종석이 좌우로 배치돼 넓적한 모양이라 적의 공격에 취약하고
수직 상승속도와 무장탑재력 등이 현저히 떨어져 공격헬기로 개량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논란의 핵심이었습니다.
앞서 이승도 전 해병대 사령관 등도 공격헬기다운 헬기가 필요하다며 마린온 무장형 도입을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이승도 / 前 해병대사령관 (지난 2020년 10월) : (국산)마린온 (기동)헬기에다가 무장을 장착한 헬기가 아닌 공격 헬기로서 운용되는 그런 헬기를 해병대에서 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개발사 KAI는 마린온 조종석에 방탄판을 적용하고 동력 계통을 국산화해 수직 상승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반박합니다.
여기에 정부는 국내 개발에 따른 고용 창출과 수출 등 경제적 효과도 기대하고 있지만 해병대의 전력 강화와 장병의 생존력 제고를 우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전히 만만치 않습니다.
[김영수 / 국방권익연구소장, 예비역 해군 소령 : 국가 안보를 위한 판단이 무엇이냐. 그것을 했을 때 추가적으로 정책적 판단이 들어가는 것이지 정책적 판단이 우선한다고 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 겁니다.]
3차례 연구 끝에 국내 개발 방식으로 방침이 정해졌지만 그 뒤 미 해병대의 주력 공격헬기 바이퍼를 생산하는 미국 벨(Bell)사가 기술이전 현지생산 방식에도 적극적인 입장이어서 새로운 선택지도 고려해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YTN 신준명입니다.
YTN 신준명 (shinjm75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