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한·미 사이버정책협의회가 현지시각으로 12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렸습니다.
2018년 이후 4년 만에 열리는 이번 협의회에서 두 나라는 사이버 안보 환경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양국 정부의 사이버 안보 관련 정책을 공유하며 의견을 나눴습니다.
협의회에는 조현우 외교부 국제안보대사와 미국 나다니엘 픽 국무부 사이버공간·디지털 정책 담당 특임대사를 수석대표로, 외교와 국방, 정보, 과학기술 등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특히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 차원에서 핵심 국방기반시설 보호와 회복력, 사이버 범죄 수사 공조 등 다양한 사이버 현안에 대해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협력 강화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양측은 핵심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위협 탐지 기술 등 사이버 보안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통한 핵미사일 관련 정보와 기술 탈취 위협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하고, 공동 대응을 위한 정책적 협력을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YTN 신현준 (shinh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18년 이후 4년 만에 열리는 이번 협의회에서 두 나라는 사이버 안보 환경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양국 정부의 사이버 안보 관련 정책을 공유하며 의견을 나눴습니다.
협의회에는 조현우 외교부 국제안보대사와 미국 나다니엘 픽 국무부 사이버공간·디지털 정책 담당 특임대사를 수석대표로, 외교와 국방, 정보, 과학기술 등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특히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 차원에서 핵심 국방기반시설 보호와 회복력, 사이버 범죄 수사 공조 등 다양한 사이버 현안에 대해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협력 강화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양측은 핵심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위협 탐지 기술 등 사이버 보안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통한 핵미사일 관련 정보와 기술 탈취 위협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하고, 공동 대응을 위한 정책적 협력을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YTN 신현준 (shinh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