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공공분야 해킹 80%가 北 소행...총선 개입 공작 우려"

국정원 "공공분야 해킹 80%가 北 소행...총선 개입 공작 우려"

2024.01.24. 오후 6:3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국정원이 지난해 국내 공공기관 해킹 공격 5건 가운데 4건은 북한의 소행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북한 해킹조직은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공격 목표를 변경했는데, 올해는 4월 총선을 앞두고 가짜뉴스를 퍼뜨리거나 선거시스템 해킹 공격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정원은 지난해 국내 공공기관에 대한 국제 해킹조직의 공격 시도가 하루 평균 162만 건으로 1년 전보다 36%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공격 주체는 북한이 80%, 중국 5%로, 북한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북한 해킹조직은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와 관심에 따라 공격 목표를 바꾸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초 식량난 해결을 지시하자 국내 농·수산기관을 집중적으로 공격했고, 8~9월 해군력 강화를 강조하자 국내 조선업체를 해킹해 도면과 설계자료를 훔치는 식입니다.

[조선중앙TV (지난해 8월 29일) : 해군 무장장비 현대화 실현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해군의 현대성과 전투능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높이는) 데서 나서는….]

지난해 10월엔 무인기 생산 강화 지시에 발맞춰 국내외 기관에서 무인기 엔진 자료를 수집한 사례도 확인됐습니다.

북한은 또 우방국인 러시아 방산업체를 상대로 여러 차례 해킹을 시도하는 등 방산기술 절취에는 아군과 적군 구분이 없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올해는 특히 북한의 선거 개입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올해 국내 총선과 미국 대선 등 50여 개국에서 선거가 치러지는 만큼 가짜뉴스나 딥페이크 영상을 유포하거나 선거 시스템 해킹 공격을 통해 국론 분열을 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국정원은 관계기관과 협력을 통해 선거철 정부 흔들기 공격에 대응하면서 전문연구소를 신설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해킹 등에도 대비한다는 계획입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YTN 신현준 (shinh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