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쌀값 안정대책 발표…"5만 톤 추가 매입"
전략작물 지원금 정책 확대…쌀 생산량 감소 유도
’새 양곡법 상임위 단독처리’ 민주에 맞대응 성격
민주, ’尹 거부권 행사’ 양곡법 고쳐 재추진
전략작물 지원금 정책 확대…쌀 생산량 감소 유도
’새 양곡법 상임위 단독처리’ 민주에 맞대응 성격
민주, ’尹 거부권 행사’ 양곡법 고쳐 재추진
AD
[앵커]
정부가 쌀값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해, 민간 물량의 쌀 5만 톤을 추가로 사들여 해외 원조에 쓰기로 했습니다.
쌀 대신 다른 작물을 기르는 농가에 주는 지원금 제도도 장려하겠다는 계획인데, 민주당은 이걸로 충분하지 않다며 정부의 쌀값 보전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강민경 기자입니다.
[기자]
설 연휴를 앞두고도 쌀값 하락 추세가 잡히질 않자, 정부 여당이 쌀값 방어를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당장 값이 더 내려가는 걸 막기 위해, 먼저 쌀 5만 톤을 더 사들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유의동 /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 지난해 11월 발표했던 5만 톤에 더해 총 10만 톤의 민간 물량을 식량 원조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가루 쌀이나 논 콩 같이 논에서 재배할 수 있는 다른 곡물, 즉 '전략작물'을 기르는 농가에 대한 지원금 정책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생산량 감소를 자연스럽게 유도해 시장 논리로 쌀값을 올려보겠단 취지인데, 전날 민주당이 상임위에서 단독 처리한 새 양곡법에 대한 맞대응 성격으로 보입니다.
[송미령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사후적 시장격리 중심의 수급 관리로는 안정적인 쌀값 유지가 어려운 만큼 윤석열 정부의 쌀 수급 정책은 과거 방식에서 과감히 벗어나 차별화했습니다.]
그러나 총선을 앞두고 농가 민심을 잡으려는 민주당은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양곡법 개정안 내용을 일부 바꿔, 전날 상임위 전체회의에서 단독 처리했습니다.
논란이 컸던 정부의 쌀 의무 매입 조항은 삭제했지만, 쌀값이 떨어지면 정부가 매입 대책을 의무적으로 수립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분석이 적잖습니다.
[신정훈 / 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일·농해수위 전체회의) : 지금 양곡관리법이 통과된다고 해도 이것이 쌀까지 푹 (가격이) 올라옵니까?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국회의 그런 의무를 국민의 대의기관으로서 하자는 거예요.]
국민의힘과 정부는 새 양곡법 개정안이 혈세를 낭비하고 쌀 공급 과잉을 심화시킬 거라고 반대하고 있습니다.
여야 간 입장이 팽팽한 상황이라, 2월 임시국회에서 합의 처리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입니다.
YTN 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연진영
그래픽: 이원희
YTN 강민경 (kmk02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가 쌀값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해, 민간 물량의 쌀 5만 톤을 추가로 사들여 해외 원조에 쓰기로 했습니다.
쌀 대신 다른 작물을 기르는 농가에 주는 지원금 제도도 장려하겠다는 계획인데, 민주당은 이걸로 충분하지 않다며 정부의 쌀값 보전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강민경 기자입니다.
[기자]
설 연휴를 앞두고도 쌀값 하락 추세가 잡히질 않자, 정부 여당이 쌀값 방어를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당장 값이 더 내려가는 걸 막기 위해, 먼저 쌀 5만 톤을 더 사들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유의동 /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 지난해 11월 발표했던 5만 톤에 더해 총 10만 톤의 민간 물량을 식량 원조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가루 쌀이나 논 콩 같이 논에서 재배할 수 있는 다른 곡물, 즉 '전략작물'을 기르는 농가에 대한 지원금 정책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생산량 감소를 자연스럽게 유도해 시장 논리로 쌀값을 올려보겠단 취지인데, 전날 민주당이 상임위에서 단독 처리한 새 양곡법에 대한 맞대응 성격으로 보입니다.
[송미령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사후적 시장격리 중심의 수급 관리로는 안정적인 쌀값 유지가 어려운 만큼 윤석열 정부의 쌀 수급 정책은 과거 방식에서 과감히 벗어나 차별화했습니다.]
그러나 총선을 앞두고 농가 민심을 잡으려는 민주당은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양곡법 개정안 내용을 일부 바꿔, 전날 상임위 전체회의에서 단독 처리했습니다.
논란이 컸던 정부의 쌀 의무 매입 조항은 삭제했지만, 쌀값이 떨어지면 정부가 매입 대책을 의무적으로 수립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분석이 적잖습니다.
[신정훈 / 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1일·농해수위 전체회의) : 지금 양곡관리법이 통과된다고 해도 이것이 쌀까지 푹 (가격이) 올라옵니까?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국회의 그런 의무를 국민의 대의기관으로서 하자는 거예요.]
국민의힘과 정부는 새 양곡법 개정안이 혈세를 낭비하고 쌀 공급 과잉을 심화시킬 거라고 반대하고 있습니다.
여야 간 입장이 팽팽한 상황이라, 2월 임시국회에서 합의 처리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입니다.
YTN 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연진영
그래픽: 이원희
YTN 강민경 (kmk02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