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사문화" vs "안전핀"...군사합의 효력정지 여야 공방 [앵커리포트]

"이미 사문화" vs "안전핀"...군사합의 효력정지 여야 공방 [앵커리포트]

2024.06.05. 오전 07:5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어제 정부가 6년 만에 9·19 군사합의 효력을 전면 정지한 것을 두고,

여야 정치권 공방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북한이 위반한 군사합의만 수천 차례가 넘는다며 환영했고

민주당은 이번 결정으로 접경지대 불안과 도발이 더 커질 거라 우려했습니다.

이번에 사라진 9.19 군사합의, 무엇인지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9.19 군사합의는 지난 2018년 9월 평양공동선언의 부속 합의서입니다.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해 육상과 해상에 완충구역을 설정하는 등

남북이 접경지대 등에서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합의 내용이 담겼는데요.

그런데 이후에도 합의를 어기는 북한 측 도발 행위가 잇따랐습니다.

해안포 사격과 총격, 무인기로 우리 영공을 침범하는 등 도발 수위도 다양했는데,

군 당국은 이 같은 위반 사례가 모두 3천여 차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결국 최근에 발생한 오물풍선 사태 이후로,

우리 정부는 6년 만에 9·19 군사합의를 효력정지하기로 결정했죠.

이 같은 결정을 놓고 정치권은 안보 위협을 둘러싸고 서로 공방을 벌이고 있는데요.

먼저 여당인 국민의힘은 효력 정지된 9·19 군사합의는 이미 북한 측 도발로 사문화됐다며

오히려 우리 국민 안전을 더 적극적으로 지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추경호 / 국민의힘 원내대표(어제) : (군사합의 효력정지는) 지난 1주일 사이에 자행된 북한 오물풍선 건과 gps 교란 공격에 대한 불가피한 대응 조치로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것입니다.]

반면 민주당은 9.19 군사합의 이후로 오히려 우발적 충돌은 많이 줄어들었다며 정부와 여당을 향해 날 선 목소리를 냈습니다.

최소한의 안전핀이었는데 사라진 만큼,

앞으로 접경지대를 비롯해 안보 위험이 더욱 커졌다는 주장입니다.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어제) : 휴전선 인근에서 고사포 탄이 날아다니던 시절로 되돌아가자는 말입니까? 긴장이 격화되고 무력충돌이 벌어지면 그 후과는 어떻게 감당할 것입니까?]

일단 정부는 효력정지에 대해, 남북한이 서로 신뢰를 회복할 때까지 진행하는 한시적 조치라며

다시 효력정지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습니다.

다만 한동안 우리 군 당국이 북측 도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우리 군과 북한 사이에 '강대강'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우발적으로 커질 수 있는 군사 충돌에 대한 완충지대는 사실상 사라진 상황이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YTN 조진혁 (chojh033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