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불참 속 우원식 의장 선출..."7일까지 원 구성안 제출"

與 불참 속 우원식 의장 선출..."7일까지 원 구성안 제출"

2024.06.05. 오후 4:0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이 22대 국회 첫 본회의를 단독으로 열고, 우원식 의원을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했습니다.

의장에 오른 우원식 의원은 모레인 7일까지 원 구성을 위한 상임위 선임안을 제출하라고 여야에 요청했습니다.

국회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준엽 기자!

우 의장이 언급한 7일, 어떤 의미인가요?

[기자]
네, 우원식 신임 국회의장은 여야 원내지도부에 7일 자정까지 밤을 새는 한이 있더라도 상임위원회 선임안을 제출해 달라고 말했는데요.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우원식 / 신임 국회의장 : 특별히 여야 원내지도부에 요청합니다. 국회법이 정한 시한을 지켜 원 구성을 마쳐야 합니다.]

들으신 바대로, 7일은 국회법에서 정한 원 구성 시한입니다.

그동안 국민의힘은 법적 시한은 강행규정은 아니라며, 여야 합의가 될 때까지 일방적으로 원 구성이 이루어져선 안 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이 시한을 지켜야 한다고 요구해 왔는데, 우 의장의 오늘 발언은 이런 야당의 논리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이 때문에 우 의장이 해당 대목을 이야기할 때 민주당 소속 의원들의 박수가 터져 나오기도 했습니다.

우 의장은 민생 대란과 군사적 긴장이 높아진 한반도 상황을 거론하며, 개원을 이유로 일할 시간을 까먹는다면 국민의 물음에 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본회의가 끝나는 대로 교섭단체 대표와 회담하겠다며, 개원은 국회의 의무이고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원 구성의 열쇠를 쥔 우 의장의 입장 표명으로 법사위, 운영위, 과방위를 누가 가져가느냐를 두고 그동안 평행선을 달려온 여야 협상의 흐름이 바뀔지 주목됩니다.

[앵커]
이번 본회의는 야당의 불참 속에 '반쪽' 개최됐다고요?

[기자]
네 22대 국회 첫 본회의이지만, 국민의힘은 야당이 일방적으로 의사일정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거부를 선언했습니다.

여당 의원 가운데엔 추경호 원내대표만 회의에 참석해,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적법하지 않은 본회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국회의장이 공석이어서, 추미애 의원이 임시의장을 맡았지만 여야 합의 없이 본회의를 열 권한은 없다는 겁니다.

나머지 의원들은 아예 불참한 채, 거대 야당이 막무가내로 힘자랑하고 있다며 회의장 입구에서 피켓 시위를 벌였습니다.

[배준영 / 원내수석부대표 : 입법부의 수장으로 국회를 대표하는 국회의장을 선출하는 선거조차 더불어민주당의 의총으로 전락시킨 것입니다.]

반면 민주당은 여당이 국회법에 따른 원 구성 기한을 지키지 않기 위해 지연 전략을 펴는 것이라고 맞섰습니다.

4월 총선 민의를 받드는 길은 일하는 국회가 되는 것이라며, 국회법에서 정한 시한인 모레까지 원 구성을 마무리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박성준 /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 제대로 좀 국회 구성을 해서 민의를 받들고 가장 어려운 민생회복에 앞장서라고 하는 얘기들을 누누이 해 왔기 때문에 이번 22대 국회는 좀 바꾸자….]

[앵커]
이런 가운데 여야 모두 당내에서는 당헌·당규 개정 논의가 한창이죠?

[기자]
네 국민의힘은 오전에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 2차 회의를 열고 지도체제 형태 등을 논의했습니다.

앞서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전당대회에 민심을 반영하는 쪽으로 가닥은 잡혔지만, 오늘 그 비율과 관련해서 갑론을박이 벌어지며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지도체제와 관련해서도 현행과 집단 지도체제, 이 사이 절충형 등 여러 안이 제시됐지만, 논의하기 적절한 시기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위원들도 나오며 뜻이 모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민주당 역시 오늘 오후 4시 국회의원들과 전국의 원외 지역위원장이 모두 함께하는 연석회의를 열고, 당헌·당규 개정 관련 의견을 수렴합니다.

당내에선 '당원권 강화' 기조에 공감대를 모으고 있지만, 국회의장 후보 선출에 당원투표를 반영할지 등 구체적인 내용에는 일부 이견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표가 이와 관련해 4·5선 의원들과의 간담회를 진행한 가운데, 오늘 회의에선 의견을 모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이준엽입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