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안 되면 다수결"...10일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 방침

野 "안 되면 다수결"...10일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 방침

2024.06.07. 오후 6: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22대 국회 원 구성 협상 법정 시한인 오늘(7일) 까지도 여야는 끝내 법사위와 운영위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합의가 안 되면, 법대로 다수결로 하는 게 원칙이라는 뜻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오는 10일에도 단독 본회의를 열어, 상임위원장 선출을 강행하겠다는 겁니다.

먼저 민주당 입장, 이준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민주당은 앞서 공언한 대로, 총선 민심을 받들기 위해 법안 최종 관문인 법사위와 대통령실 담당 운영위는 야당 몫이란 주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힘자랑'이란 여당 공격에는 국회법 준수가 힘자랑이면 계속 힘자랑 하겠다면서 합의가 불발되면 다수결 원리로 정면돌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 합의될 때까지 무한하게 미룰 것이 아니라, 헌법과 국회법, 그리고 국민의 뜻에 따라서 다수결 원리로 원 구성을 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법정 기한 준수를 거부하면 '무노동 불법세력'이란 지탄을 받게 될 거라 비난했는데, 조국혁신당 등 다른 야당과 함께 여당 고립 작전을 폈습니다.

[윤종군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저희 야 4당 초선 국회의원들은 일하고 싶습니다. 하루빨리 원 구성을 마치고 상임위를 배정받아 열심히 뛰고 싶습니다.]

민주당 몫 상임위원 요청서를 제출하며, 명단 제출을 거부한 국민의힘을 압박하기도 했습니다.

민주당은 여야가 접점을 찾지 못하면 지난 국회의장 선출 때처럼 오는 10일에도 거듭 단독으로 본회의를 열고 상임위원장 선출을 강행하겠단 계획입니다.

민주당이 요구해온 11개 상임위원장을 먼저 뽑을 생각이지만, 협상 상황에 따라 18개 상임위원장을 모두 가져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만약 질질 끌거나 제출을 거부할 시, 이후 벌어지는 일의 모든 책임은 국민의힘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 둡니다.]

여당이 끝내 협상을 거부할 경우, 상임위 배정 권한이 있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4년 전 21대 국회 전반기 때처럼 여당 몫 강제 배정에 나설 수도 있습니다.

또 한 번의 파행이 불가피할 거란 우려 섞인 관측이 적지 않습니다.

YTN 이준엽입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