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대북확성기 방송 재개 준비...전군, 비상근무

軍, 대북확성기 방송 재개 준비...전군, 비상근무

2024.06.09. 오후 2: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軍, 대북확성기 방송 재개 준비…"언제든 방송할 기반 마련"
고정식 확성기는 철거…이동식 확성기는 주차 상태
이동식 확성기 먼저 운용 후 고정식 확성기 설치 가능성도
軍, 북한 오물풍선 재살포에 모든 부대 비상근무 돌입
AD
[앵커]
NSC 회의 결과, 대북확성기 방송을 재개하기로 하면서 군 당국도 준비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군 상황 알아 보겠습니다. 김대근 기자!

[기자]
네, 정치부입니다.

[앵커]
군 당국도 대북확성기 방송 재개를 위한 준비에 나서겠군요?

[기자]
대통령실이 오늘 중으로 대북 확성기를 설치하고 방송을 시작하기로 하면서 우리 군 당국도 준비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군 당국은 9·19 군사합의 전체 효력 정지 이후 언제든지 대북확성기 방송을 시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는데요.

그런 만큼 대북 방송을 언제, 어디에서 다시 시작할지 주목됩니다.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인 차량도 16대가 있었지만,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에 따라 고정식은 철거돼 창고에 보관 중이고 차량은 인근 부대에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고정식 확성기는 설치 작업 등이 필요하지만 이동식 확성기는 즉각 이동해 운용할 수 있는 만큼 고정식보다는 이동식을 먼저 가동할 거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또 고정식 장비를 완전히 고정할 경우 더 강한 압박 효과가 있는 만큼 이동식 장비부터 가동하며 대응 수위를 차차 높여갈 거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 군은 북한 오물풍선 재살포에 대응해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 중인데요.

휴일인 오늘 국방부 본부는 물론 육해공군 모든 부대가 평일처럼 정상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북한의 오물풍선 추가 살포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와 추가도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방부와 전군 차원의 엄정한 대비태세와 작전 기강 확립이 긴요하다며 비상근무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정치부에서 YTN 김대근입니다.


YTN 김대근 (kimdaegeu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