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의대 교수 비대위 면담...與, 고위 당정대 회의

野, 의대 교수 비대위 면담...與, 고위 당정대 회의

2024.06.16. 오후 1:5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국회 복지위, 서울의대 교수 면담…요구사항 청취
野 "의정갈등 장기화 안 돼…국회 차원에서 노력"
"의대 정원, 의료계와 논의…절차상 문제 짚어야"
野,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국회 출석 요구
AD
[앵커]
내일부터 예고된 서울대병원 집단 휴진을 앞두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이 의대 교수들을 만나 사태 해결책을 논의했습니다.

국민의힘과 정부, 대통령실은 잠시 뒤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저출생 대책 등을 논의합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나혜인 기자1

[기자]
네, 국회입니다.

[앵커]
의료계 휴진 예고에 정치권 움직임 어떤가요?

[기자]
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이 오전에 서울대병원에서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집행부와 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복지위 야당 간사인 민주당 강선우 의원은 교수들과 현재 의정갈등 상황이 장기화해선 안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국회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교수들은 전공의 행정처분 취소와 협의체 구성, 또 의대생 증원 과정의 절차상 문제점을 국회가 빠짐없이 짚어달라고 요청했고, 민주당 소속 박주민 복지위원장도 이에 화답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이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의 국회 출석을 요구했다며, 안 나오면 청문회를 열어 증인으로 부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오늘 간담회에 국민의힘 의원들은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국회 원 구성에 반발해 상임위 대신 당 차원의 별도 특별위원회를 꾸려 정치 현안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당에선 앞서 당내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인 인요한 의원이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과 만났지만, 입장 차를 크게 좁히진 못했습니다.

국민의힘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YTN과 통화에서 이렇게 팽팽한 상황에선 당이 움직이는 게 맞다며 야당의 대화 노력도 환영하고, 당대 당 차원에서 논의할 부분이 있으면 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여당에선 잠시 뒤 고위 당정협의회가 열리죠?

[기자]
황우여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여당 지도부와 한덕수 국무총리,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오후 2시 총리공관에서 만납니다.

일단 공식 안건으론 저출생과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 콘텐츠 산업 진흥대책 등이 올라와 있습니다.

우선 저출생부 신설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문제나 최근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 지원 대책 등이 중점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 자리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도 참석해 자연스럽게 의사 집단 휴진 문제도 화두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여당 핵심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의료계 문제는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항상 조금씩 언급이 됐다고 전했습니다.

물론, 의사들의 집단 휴진에 엄정 대응한다는 정부의 기존 방침과 크게 다른 해결책이 나올지는 미지수입니다.

[앵커]
여야 원 구성 협상에는 진전이 있습니까?

[기자]
없어 보입니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민주당과 연락은 하고 있지만, 협상에는 전혀 진전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고위 당정협의회 전후로 원내지도부끼리 숙의를 더 해보겠지만, 큰 상황 변동이 없으면 이번 주도 일단 당내 특위 중심으로 민생현안에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추경호 원내대표는 야당 단독으로 강행한 11개 상임위 구성을 전면 백지화하고,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에게 일대일 공개 토론을 하자고 요구했지만, 민주당 기류 역시 변화가 없습니다.

민주당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여당이 꾸린 당내 특위를 입법권도 없는 '동아리'라고 깎아내리며 유사 상임위로 흉내 내지 말고 국회에서 떳떳이 일하라고 쏘아붙였습니다.

또 남은 상임위원장 7명 역시 내일 본회의를 열어 선출해야 한다며, 여당이 거부하면 단독으로 원 구성을 끝내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습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주말 동안 여야 중재를 계속 시도한다는 입장입니다.

의장실 관계자는 결론을 낼 상황은 아직은 아닌 것 같다며 양쪽 얘기를 계속 듣고 있고, 각 당의 최종 입장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국회 상임위 일정이 이런 식으로 계속 진행되는 건 여야 모두 압박이 있을 거라며 시간을 마냥 끌 순 없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나혜인 (nahi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