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서방 통제 안 받는 무역·결제체계 발전"...北 "새로운 높은 관계"

푸틴 "서방 통제 안 받는 무역·결제체계 발전"...北 "새로운 높은 관계"

2024.06.18. 오전 11:4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北, 푸틴 방북에 "북러, 새로운 높은 관계 발전"
"뿌리 깊은 친선·협조 관계, 새 전성기 맞아"
"러의 우크라 작전은 존엄과 이익수호 위한 성전"
"러시아, 美에 핵으로 맞서는 北 인민 지지"
AD
[앵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의 방북을 앞두고 북한과 러시아가 친선과 협조의 의미를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노동신문에는 북한의 대대적인 환영사와 함께 푸틴 대통령의 기고 글이 실렸고,

우리 정부는 면밀히 주시한 뒤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임성재 기자!

[기자]
네, 정치부입니다.

[앵커]
오늘 자 노동신문 1면에 북러 간 어떤 내용이 담겼나요?

[기자]
우선 북한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두고, 북한과 러시아의 선린우호 관계를 '새로운 높은 관계'로 발전시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노동신문 사설로, '러시아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동지를 열렬히 환영한다'라는 제목 아래 이같이 밝혔는데요,

북한은 러시아와의 뿌리 깊은 친선과 협조 관계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러가 자주와 국제적 정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준엄한 투쟁의 한 전호에 서 있다며,

러시아의 대 우크라이나 '특수군사작전'은 주권적 권리와 국가의 존엄, 발전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정의의 성전이라고 치켜세웠습니다.

또, 미국과 그 추종 세력들의 전쟁 도발 책동에 가공할 핵 억제력으로 맞서나가고 있는 우리 인민의 투쟁에, 러시아가 확고한 지지를 표시하고 있다며 양국 간의 우호 관계를 과시했습니다.

1면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기고 글은 '연대를 이어가는 친선과 협조의 전통'이라는 제목으로 실렸습니다.

이 글에는 북한과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및 상호 결제체계를 발전시키고 일방적인 비합법적 제한조치들을 공동으로 반대해 나갈 것이라고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과 협조할 용의가 있다며, 유라시아에서 안전구조 건설, 인도주의적 협조 발전, 과학 활동 활성화 등을 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내용은 북러 정상이 서명할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푸틴 대통령의 방문이 공식화되면서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반응은 어떤가요?

[기자]
대통령실 관계자는 방북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북러 정상회담에서 나올 메시지와 양국 협력 정도에 따라 대응수위를 결정하겠다는 취지로 읽히는데요,

북러가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에 가까운 수준의 군사 협력을 맺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상황을 관찰 중입니다.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을 포함한 북러 간 군사 동맹은 우리 정부가 용인할 수 있는 선을 넘는 도발로 인식됩니다.

대통령실은 이 같은 우려를 바탕으로 최근 러시아 측에 '일정한 선을 넘지 말라'는 경고성 소통을 전했고,

만약 북러 관계가 예상보다 많이 진전돼 실제 비슷한 조약이 체결된다면, 한러 관계는 크게 악화할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정치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