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 꼬리표'의 딜레마...'격세지감' 與 당권 경쟁?

'친윤 꼬리표'의 딜레마...'격세지감' 與 당권 경쟁?

2024.06.22. 오전 05: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국민의힘 차기 당권 경쟁이 본격화한 가운데, 저마다 '친윤 후보'임을 강조했던 지난해 전당대회와는 변화된 기류도 감지됩니다.

총선 참패 이후 달라진 대통령실의 위상이 반영됐단 해석인데, 일각에선 여전히 적잖은 당심 비율로 아직은'친윤-반윤' 구도가 주요 변수란 관측도 나옵니다.

박광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김기현 / 국민의힘 의원 (지난해 1월) : 대통령과 눈빛만 봐도 서로 뜻이 통하는 사람, 뜻이 통하는 당이 돼야 한다….]

집권 초반에 치러진 지난해 국민의힘 전당대회.

친윤계 초선들이 '연판장'을 돌려 나경원 의원의 불출마를 이끌었고, '안-윤 연대'로 윤심 후보를 자처한 안철수 의원에겐 대통령실 차원의 공개 비판도 나왔습니다.

[이진복 / 당시 대통령실 정무수석 (지난해 2월) : (안-윤 연대는) 정말 잘못된 표현입니다. 대통령과 후보가 어떻게 동격이라고 지금 이야기하는 겁니까?]

1년이 넘게 흐른 지금, 상황은 다소 변화됐습니다.

'친윤계 지원설' 속 당권 후보로 등판한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당정 일체론을 내세워 '반윤'으로 평가받는 한동훈 전 위원장 견제에 나섰습니다.

[원희룡 / 전 국토교통부 장관 : 모든 게 남의 책임이고 비판할 때는 남 이야기처럼 비판하고 정치적인 자산과 기회는 전부 자기 개인화하려는 이런 식의 정치는 오래가지 못하고….]

그러면서도 출마 관련 대통령과의 대화는 다른 주자들과 비슷한 의례적 덕담 수준이었다며 윤심 마케팅은 최소화하려는 분위기 역시 감지됩니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과 함께, '친윤 꼬리표'에 역풍을 우려한 수위 조절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그간 '비윤'으로 평가받아온 후보들 역시 당의 통합과 수평적 당정관계 등을 강조하며 친윤-반윤 후보와의 차별화에 본격 시동을 걸었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 : 전당대회라든지 이런 게 되면 늘 줄 세우고 줄 서고 대통령실 팔거나 또는 제2의 연판장 같은 사건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일각에선 여전히 '친윤 당심'이 선거 승패를 가를 주요 변수란 시각도 적지 않습니다.

수도권 총선 참패로 영남 의석 비중이 여전히 50%를 웃도는 가운데, 윤 대통령에 우호적인 핵심 지지층 표심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겁니다.

여기에 '한동훈 대세론'의 약한 고리로 지목되는 용산과의 불화설 역시 '윤심 이슈'를 수면 위로 끌어올릴 변수로 꼽힙니다.

한 친윤계 의원은 지난 전당대회처럼 개입하는 모양새는 피하겠지만, 대통령 임기가 3년가량 남아 여당 원톱과 대통령실 호흡을 고민하지 않을 순 없을 거란 기류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 때문인지 한 전 위원장 측은 반윤 색채 덜기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 등을 공개하고, 범친윤 의원들과도 접촉하며 당내 조직력 강화에 공을 들이는 모양새입니다.

[장동혁 / 국민의힘 의원 : (한동훈 전 위원장이 당 대표에 출마해서) 힘 있는 정당, 이기는 정당을 만들겠다는 그런 취지로 말씀드린 것으로 알고 있고 그에 대해서 대통령께서 열심히 해보라는 격려의 말씀을 해주신 걸로….]

여당 당권 경쟁이 4파전 구도로 흐르면서 흥행에 파란불이 들어왔단 기대 속에 각 후보들은 친윤과 반윤 꼬리표 사이에서 더욱 치열한 수 싸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YTN 박광렬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전주영
디자인 : 이나영



YTN 박광렬 (parkkr08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