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2015년 군함도에 이어 이번엔 사도광산까지, 우리 아픈 역사가 녹아있는 곳이 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등재되는 걸까요?
자세히 알아보시죠.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유네스코가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지녀 인류가 함께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지정하는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네스코는 세렝게티 평원에서 이집트 피라미드, 남미의 바로크 성당까지 모두 인류의 유산이라고 설명하고 있죠.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인류가 만든 건축물 같은 문화유산,
그리고 과학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 자연경관인 자연유산,
그리고 자연과 인류의 역사가 함께 녹아있는 복합유산으로 나뉩니다.
등재기준은 우선 보편적 가치 항목 10가지 가운데 하나 이상에 해당해야 하고 여기에 유산이 진실하고 신뢰할 만한지, 또 보존관리 계획도 마련돼있는지 등을 평가합니다.
등재 절차는 우선 각 정부가 등재를 희망하는 유산을 세계유산위원회의 잠정목록에 올리고 정식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그럼 3개의 자문기구가 유산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요.
이후 등재, 보류, 반려 등 의견을 세계유산위원회에 전달합니다.
이때 자문기구는 등재를 신청한 정부에 미비점, 논란이 있는 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약속받기도 하죠.
여기서 등재 의견이 나오면 거의 등재가 확정되고요.
이후 세계유산위원회가 등재를 최종 결정합니다.
이번 사도광산 등재 때도 자문기구의 권고가 있었는데요.
애초 일본 정부는 조선인 노동자 강제동원이 이뤄졌던 20세기를 제외하고 등재 기간을 에도 기간(1603~1868년)으로 한정했지만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전체 역사'를 설명하라고 권고했죠.
여기에 일본 정부가 동의했고, 이후 우리 정부와도 합의가 되면서 이번 등재는 성사됐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앞서 군함도를 등재할 때도 비슷한 약속을 했습니다.
2015년 일본 정부는 '일을 강요당했다'는 표현을 인정하며 '조선인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역사를 알리겠다'며 '고 했지만
이후 '일을 강요당했다'는 표현은 강제 노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말을 바꿨죠.
군함도와 사도광산처럼 가해자와 피해자의 기억이 공존하는 경우 논쟁이 일어나곤 합니다.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또 노예 무역의 현장이었던 세네갈 고레 섬이 대표적인데요.
이 같은 문제의 당사자인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 2022년 창립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세계유산의 등재 자체나 약속 이행에 대한 논란이 반복되는 상황, 유산의 의미를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국제 해석 설명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YTN 조진혁 (chojh033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네스코 세계유산,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등재되는 걸까요?
자세히 알아보시죠.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유네스코가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지녀 인류가 함께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지정하는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네스코는 세렝게티 평원에서 이집트 피라미드, 남미의 바로크 성당까지 모두 인류의 유산이라고 설명하고 있죠.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인류가 만든 건축물 같은 문화유산,
그리고 과학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 자연경관인 자연유산,
그리고 자연과 인류의 역사가 함께 녹아있는 복합유산으로 나뉩니다.
등재기준은 우선 보편적 가치 항목 10가지 가운데 하나 이상에 해당해야 하고 여기에 유산이 진실하고 신뢰할 만한지, 또 보존관리 계획도 마련돼있는지 등을 평가합니다.
등재 절차는 우선 각 정부가 등재를 희망하는 유산을 세계유산위원회의 잠정목록에 올리고 정식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그럼 3개의 자문기구가 유산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요.
이후 등재, 보류, 반려 등 의견을 세계유산위원회에 전달합니다.
이때 자문기구는 등재를 신청한 정부에 미비점, 논란이 있는 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약속받기도 하죠.
여기서 등재 의견이 나오면 거의 등재가 확정되고요.
이후 세계유산위원회가 등재를 최종 결정합니다.
이번 사도광산 등재 때도 자문기구의 권고가 있었는데요.
애초 일본 정부는 조선인 노동자 강제동원이 이뤄졌던 20세기를 제외하고 등재 기간을 에도 기간(1603~1868년)으로 한정했지만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전체 역사'를 설명하라고 권고했죠.
여기에 일본 정부가 동의했고, 이후 우리 정부와도 합의가 되면서 이번 등재는 성사됐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앞서 군함도를 등재할 때도 비슷한 약속을 했습니다.
2015년 일본 정부는 '일을 강요당했다'는 표현을 인정하며 '조선인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역사를 알리겠다'며 '고 했지만
이후 '일을 강요당했다'는 표현은 강제 노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말을 바꿨죠.
군함도와 사도광산처럼 가해자와 피해자의 기억이 공존하는 경우 논쟁이 일어나곤 합니다.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또 노예 무역의 현장이었던 세네갈 고레 섬이 대표적인데요.
이 같은 문제의 당사자인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 2022년 창립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세계유산의 등재 자체나 약속 이행에 대한 논란이 반복되는 상황, 유산의 의미를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국제 해석 설명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YTN 조진혁 (chojh033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