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군함도 강제성' 빠진 후속조치 보고서...정부 "거듭 유감"

일, '군함도 강제성' 빠진 후속조치 보고서...정부 "거듭 유감"

2025.02.01. 오전 11:1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2015년에 일본이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전에 약속했던 강제동원 역사 명시를 비롯한 조치들이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측 요청으로 일본이 제출한 후속조치 보고서가 어젯밤 공개됐는데, 관련 내용 취재기자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박희재 기자, 보고서 작성 배경과 내용 설명해주시죠.

[기자]
네 먼저 이 보고서는 지난 2015년, 일본이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이라는 명칭으로 군함도를 포함한 23곳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한 것과 관련한 후속조치를 담고 있습니다.

지난해 등재된 사도광산 건과는 별개고요.

일본이 지난해 12월에 제출한 보고서를 유네스코 측이 어젯밤 공개한 건데요.

앞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위원회는 지난 2023년 45차 회의에서 일본에 몇 가지 지적과 요청사항을 전했습니다.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 설명이 부족하다는 등 이례적으로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며 한국과 대화를 지속하라는 조치를 주문한 건데 보고서는 그에 대한 일본의 후속조치가 담긴 겁니다.

그런데 보고서를 보면, 일본이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전에 한일 협상에서 약속한 것, 그리고 우리나라가 그동안 요청해 온 내용 대다수가 빠져있습니다.

그동안 한국은 일본에 '가혹한 조건에서 조선인들이 강제동원된 역사', 그리고 조선인 피해자들의 증언을 전시관 등에 공개하고,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기리는 조치를 해달라고 요청했고요.

2023년에는 일본이 도쿄에 있는 관련 센터에 '한일 강제병합 합법성' 주장을 담은 전시물까지 내놨는데 이를 철거해달라는 항의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보고서에서 일본은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관련 설명을 도입했다', 또 '도쿄에 마련된 센터 개관일을 확대하겠다'고 말하는 등 언급만 나와 있습니다.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을 전시해달란 우리 측 요청에는, 단순히 연구용 참고자료를 전시관 서가에 꽂아두는데 그쳤습니다.

또 강제병합 합법성 내용이 담긴 전시물 철거 요청에 관한 내용도 보고서에선 빠져있습니다.

[앵커]
그래서 우리 정부도 입장을 표명했다고요?

[기자]
네 외교부는 유감이란 입장을 즉각 표명했습니다.

대변인 논평에서 외교부는, 세계유산위원회의 거듭된 결정과 일본이 스스로 약속한 조치가 이행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후속 조치를 조속히,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유네스코 안에서 강하게 문제를 제기하면서 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여러 조치를 다 검토하겠다고도 설명했는데요.

하지만 일본이 약속을 이행하도록 강제하거나 제재를 위한 수단이 없다는 점은 한계로 꼽힙니다.

특히 일본이 지난해 사도광산에서도 현장 노동자 전시물에 '강제' 표현이 빠지는 등 성의 없는 조치가 이뤄진 것으로 봤을 때,

앞으로도 이 역사와 관련해 일본의 태도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정치부에서 YTN 박희재입니다.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