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일본이 군함도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전 약속했던 강제동원 인정과 희생자 추모 조치 등이 9년이 지나도록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이 유네스코에 제출한 후속조치 보고서에 이 같은 내용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건데, 정부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데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15년 일본은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23곳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습니다.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이 강제로 노역에 동원된 군함도와 나가사키 조선소 등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우리 정부를 포함한 국제사회에선 조선인 강제동원 등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했고, 일본은 우려를 반영해 등재 이후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윤병세 / 당시 외교부 장관 (지난 2015년) : 이번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정부는 과거 1940년대 한국인 등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되어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한 사실이 있었음과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정보센터 설치 등 조치를 취하겠다는 요지의 발표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2020년 도쿄에 만들어진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희생자 추모는커녕 징용을 정당화하는 일방적 주장이 담겨 공분을 샀습니다.
[스즈키 후미오 / 재일교포 2세, '산업유산국민회의' 홈페이지 소개 영상 : 전쟁 중에 하시마(군함도)에서 가혹한 일을 당했다고 하는 말은 전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 정부는 물론 유네스코도 이례적으로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며 조치를 주문했지만, 이번에 공개된 일본의 후속조치 보고서에서도 기대했던 조치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보고서에는 '유산의 보편적 가치와 관련한 설명을 도입했다', '도쿄에 마련된 센터 개관일을 확대했다'는 조치 내용만 담겼습니다.
우리 측이 피해자 증언을 정보센터에 전시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연구용 참고자료를 전시관 서가 등에 배치하는 데 그쳤습니다.
외교부는 '유감'이란 입장입니다.
약속한 조치가 이행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유네스코에 강하게 문제를 제기할 방법을 찾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약속 이행을 강제할 수단이 없는 만큼 일본의 전향적 조치를 기대하긴 어렵단 관측이 나옵니다.
2023년엔 정보센터에 한일 강제병합이 합법이란 전시물까지 등장해 우리 정부가 철거를 요구했지만 여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은 상황,
과거사와 관련한 이런 일본 측 태도는 앞으로도 양국 외교에 뇌관으로 작용할 거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YTN 박희재입니다.
영상편집 : 김지연
디자인 : 김효진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일본이 군함도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전 약속했던 강제동원 인정과 희생자 추모 조치 등이 9년이 지나도록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이 유네스코에 제출한 후속조치 보고서에 이 같은 내용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건데, 정부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데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15년 일본은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23곳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습니다.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이 강제로 노역에 동원된 군함도와 나가사키 조선소 등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우리 정부를 포함한 국제사회에선 조선인 강제동원 등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했고, 일본은 우려를 반영해 등재 이후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윤병세 / 당시 외교부 장관 (지난 2015년) : 이번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정부는 과거 1940년대 한국인 등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되어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한 사실이 있었음과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정보센터 설치 등 조치를 취하겠다는 요지의 발표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2020년 도쿄에 만들어진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희생자 추모는커녕 징용을 정당화하는 일방적 주장이 담겨 공분을 샀습니다.
[스즈키 후미오 / 재일교포 2세, '산업유산국민회의' 홈페이지 소개 영상 : 전쟁 중에 하시마(군함도)에서 가혹한 일을 당했다고 하는 말은 전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 정부는 물론 유네스코도 이례적으로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며 조치를 주문했지만, 이번에 공개된 일본의 후속조치 보고서에서도 기대했던 조치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보고서에는 '유산의 보편적 가치와 관련한 설명을 도입했다', '도쿄에 마련된 센터 개관일을 확대했다'는 조치 내용만 담겼습니다.
우리 측이 피해자 증언을 정보센터에 전시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연구용 참고자료를 전시관 서가 등에 배치하는 데 그쳤습니다.
외교부는 '유감'이란 입장입니다.
약속한 조치가 이행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유네스코에 강하게 문제를 제기할 방법을 찾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약속 이행을 강제할 수단이 없는 만큼 일본의 전향적 조치를 기대하긴 어렵단 관측이 나옵니다.
2023년엔 정보센터에 한일 강제병합이 합법이란 전시물까지 등장해 우리 정부가 철거를 요구했지만 여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은 상황,
과거사와 관련한 이런 일본 측 태도는 앞으로도 양국 외교에 뇌관으로 작용할 거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YTN 박희재입니다.
영상편집 : 김지연
디자인 : 김효진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