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구치소청문회 불발...곧 윤 대통령 신문 시도

김용현 구치소청문회 불발...곧 윤 대통령 신문 시도

2025.02.05. 오전 11:4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윤석열 정부 내란 혐의 국정조사특위가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을 상대로 현장조사 하기 위해 직접 구치소를 찾았습니다.

조금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본인 거부로 현장 청문회가 불발됐는데, 여당은 일방적 진행이라 반발하며 불참했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정현 기자!

현장 청문회,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먼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있는 서울동부구치소에서 일정을 시작했는데요,

김 전 장관은 재판 준비로 바쁘고 변호인 접견을 해야 한다며, 출석을 완강히 거부했습니다.

이에 특위가 보안구역 안으로 들어가 접견을 시도했지만, 역시 김 전 장관은 응하지 않았고, 특위는 김 전 장관을 국회 모욕죄로 고발 조치했습니다.

야당 위원들은 김 전 장관이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과 거의 동창회 말장난 수준의 입 맞추기를 자행하고 어제도 반국가 세력 척결을 위해 계엄을 했다는 식의 입장을 발표했다고 규탄했습니다.

증인채택에 반대했던 여당 위원들은 현장 청문회에 불참했는데, 야당 위원들은 이에 두고서도 계엄에 동조하는 거냐며 반발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있는 서울구치소,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있는 수방사 미결수용소까지, 차례로 방문해 이들을 상대로 현장 조사한다는 건데요,

윤 대통령도 조사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어제 탄핵심판에서 계엄 사태를 두고 '실제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윤 대통령 진술을 두고도 여야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아침회의에서 내란 사태를 달그림자라느니 하면서 한 여름밤 꿈 정도에 빗대 희화화하려는 게 아닌가 싶다며,

국민의힘도 이런 심각한 상황에서 본인들 권력만 유지하면 되느냐고 날을 세웠습니다.

여당은 기본적으로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거리를 두며 말을 아끼는 기류인데,

다만 여당 소속 국조특위 위원은 통화에서, 홍장원 차장의 경우 국회, 헌재, 수사기관 조사에서 각각 진술이 조금씩 다르다며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또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계엄 당시 체포조 관련 지시를 받지 않았다는 진술에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앵커]
최근엔 여야 모두 민생 행보에도 공을 들이는 분위기죠?

[기자]
네, 이재명 대표는 아침 회의에서 지금은 추경편성을 망설일 때가 아니라며, 필요한 정도가 아니라 즉각 추진해야 할 긴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부가 먼저 추경을 할 테니 야당에 도와달라고 해도 부족할 판에 조건을 붙이며 거래하자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질타했습니다.

동시에 국민의힘에도 민주당이 민생예산을 삭감했다는 주장대로면 복구를 위해 추경을 빨리 활용하는 게 책임 있는 여당의 자세 아니겠냐고 꼬집었습니다.

지금 국민의힘은 야당 발목을 잡고 뒤통수를 치며 골탕먹일 생각에만 매진한다며, 여당이 아니라 산 위에 가끔 출몰해 사람을 괴롭히는, '산당'이라고 비꼬았습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발언은 지난 연말 민주당의 일방적 예산 처리 사실을 자인하는 격 아니겠냐고 반문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기본적으로 예산의 조기 집행이 먼저라는 입장을 밝히며, 올해 예산의 75%가량이 상반기 집행되면 어느 정도 경기부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표가 민생지원금 등 여러 조건을 걸며 추경을 말하는데, 진정성 있다면 국정협의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이 등 다른 민생법안과 함께 모든 의제에 문을 열어두고 얘기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여당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추경을 비롯한 이 대표의 우클릭 행보는 최근 박스권에 갇힌 민주당 지지율 탓 아니겠냐고 응수했는데요.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비대위는 오늘, 경기 평택에 위치한 고덕변전소를 방문해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여당이 주장하는 '미래먹거리 4법' 가운데 하나인 국가기간전력망특별법 통과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현장 행보입니다.

여야 모두 민생 행보에 잰걸음이지만, 그러나 추경을 비롯해 사안별로 여야 사이 간극은 이처럼 적잖은 상황입니다.

결국, 이르면 다음 주 여야 대표들과 국회의장,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국정협의회 4자회담에서 쟁점 사안들에 담판이 이뤄질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박정현입니다.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